최철우 최씨고집한의원 대표원장
[동양일보]이제 자동차는 바야흐로 생활의 필수품처럼 인식되는 시대가 된 지 오래다. 1가구 2차는 기본이고 그 이상 되는 경우도 있어서 주차난이 또 하나의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에 따라 자동차 사고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자동차 사고 사망률이 전체 사망 요인 중에 매우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또한 사고로 인한 각종 후유질환들이 생겨나게 됐는데 그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이른바 차량충돌로 인한 경추의 편타손상(Whiplash injury)이다.
갑작스런 머리의 움직임(앞, 뒤, 옆 어느 방향으로든지)이 목에 영향을 줘 부상을 당하는 모든 것을 통틀어 편타손상(whiplash injury)이라 하는데 순우리말로 풀어 말하자면 채찍질손상, 즉 목이 채찍처럼 꺾이면서 주변 조직들이 손상되는 것을 말한다. 편타손상은 특히 상대방 차에 의해 차의 뒷부분이 충격을 받았을 때 목에 가장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충돌 시 머리가 먼저 심하게 뒤로 젖혀졌다 반사적으로 앞으로 다시 굽혀지게 되는데 이때 목의 앞뒤의 근육과 인대가 파열되고 심하면 척추, 디스크, 척추 신경 등이 손상을 입게 된다. TV나 영화에서 사고가 나면 뒷목을 잡고 차에서 내리는 장면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게 그 이유다. 그리고 상대방의 차가 옆을 치게 되면 머리가 양옆으로 젖혀지게 되고 자신이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면 머리가 앞뒤로 젖혀지므로 어느 방향으로 충격을 받든지 손상당하게 된다.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심한 스포츠 또는 일을 통해 편타손상을 당할 수도 있다.
경부통, 두통, 경추 운동제한의 3대 증상이 주로 나타나게 되며 이외에도 이상 감각증상 및 어지럼증, 이명, 요통, 시각장애, 턱관절 이상, 인지 장애 등 의외로 여러 가지 증상들이 부수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1)목의 통증과 더불어 목을 움직일 수 없다. (2)두통 (3)어지러움과 메스꺼움 또는 구토 (4)물이나 음식을 삼키기 힘들거나 삼킬 때 통증이 있다(식도를 다쳤을 경우) (5)눈의 시력에 이상이 있다 (6)신경이 날카로워지며 짜증을 쉽게 내고 운전하기가 무섭다 (7)쉽게 피곤해 진다 (8)등 뒤 날갯죽지(견갑골) 사이와 어깨 통증이 있다 (9)팔, 다리, 손, 발이 저리거나 통증 또는 감각이 둔해진다 (10)등과 허리의 통증 (11)귀에서 소리가 난다 (12)음식을 씹을 때 턱관절에 통증과 더불어 움직일 때 소리가 난다 (13)목소리가 쉬던지 잠겼다(후두를 다쳤을 경우) (14)평상시보다 잠을 자지 못하거나 또는 더 많이 잔다 (15)온몸이 얻어맞은 것처럼 욱신거린다 (16)가슴이나 옆구리가 아프다(안전벨트로 인하여) (17)변비·설사
증상은 3일 이내에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나 늦어지는 경우도 있어 사고 이후 1주일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 증상들의 특징은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를 받은 뒤에 나은 듯하다가 수주 후에 갑작스럽게 다시 나타나거나 일부 증상들(어지럼증, 후두부감각이상, 이명 등)은 은은하게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초기에 전문가의 진료·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그러한 후유증을 예방해야 한다.
특히 사고 후 일주일간은 통증이 지속적으로 심해질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초기치료가 전체적인 후유증 기간을 좌지우지한다고 볼 수 있고, 따라서 초기치료의 중요성은 여러 번 말해도 과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손상 증후군은 한의학으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편타손상 증후군을 경근병(經筋病), 즉 근육의 손상으로 인한 병증 및 어혈(瘀血)로 보고 치료를 하고 있는데 ‘어혈’은 피가 몸 안에 일정하게 머물러서 생기는 병증으로서 흔히 아픈 곳이 고정돼 있고(때로 전신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함), 찌르듯이 아프며, 낮보다는 밤, 맑은 날보다는 흐린 날 더 아픈 특징이 있다. 이런 특징들은 바로 교통사고 후유증 환자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고 있는 증상들과 거의 유사하며, 따라서 교통사고 후유증의 치료에서 어혈을 풀어줄 수 있는 한방치료의 필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침구치료와 약침치료, 약물치료로서 근육의 경결을 풀어주고 어혈을 제거시킴으로써 기혈(氣血)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증상들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추나요법을 통해 틀어진 뼈와 근육을 정상적인 위치로 환원시킴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고 척추에 쌓이는 비정상적인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처치를 초기에 받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후유증 부분에서 많은 차이를 보여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의학적치료는 국민건강을 위해 바람직한 선택을 넘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