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애자 수필가

김애자 수필가

[동양일보]그이는 하현달 아래서 생의 층계를 내려가고 있다. 희미한 그림자를 앞세우고 천천히 가벼운 걸음으로 내려가고 있다. 가장으로서의 책임, 직장이란 조직에서 성과 비율에 따른 경쟁과 갈등에서 벗어난 지 25년. 그 세월이 그를 달관시켰다. 혼자서 잘 놀 줄을 안다. 어제와 그제, 그리고 오늘과 내일이 별반 다르지 않다. 굴곡 없는 수평적인 일상의 연속이지만 그는 안다. 순자가 말한 복이란 재앙이 없는 삶이 이어지는 상태라는 것을. 부자의 개념도 가진 것보다 덜 원하면 평온한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가을에 잎 지는 나무를 보고 깨달았다고 한다.

열매를 맺는 나무들은 가을이 깊어지면 열매와 잎을 모조리 땅으로 내려 보낸다. 다 털어버리고 가벼워져야 폭설과 삭풍에 다치지 않는다.

우린 80평생을 서민으로 살아왔다. 서민으로 살아서 버릴 것도 털어 낼 것도 없다. 그 가벼움이 안분지족이란 둥우리 만들어 주었고, 우린 그 둥우리 안에서 해마다 섣달그믐 이마를 마주대고 행복리스트를 점검한다. 하루하루 만족하게 살기. 매일 감사하며 살기. 내가 가진 것 조금 덜 쓸고 나누기. 운동 꾸준히 하기, 서로 자기주장만 내 세우지 않기로 정해 놓았다.

다섯 가지 원칙 안에서 그는 나름대로 일정을 짜놓고 실행한다. 아침에 일어나면 아침운동으로 하루를 연다. 운동 한 시간 후에 아침 식사하기, 아침 먹고 나면 밥값으로 아내가 정해준 자기방 청소를 시작한다. 매번 밀대로 방바닥을 닦을 적마다 '메기의 추억'을 흥얼거린다. ‘옛날에 금잔디 동산에 앉아서 놀던 곳’으로 시작하는 이 노래는 1960년대 초에 대학 캠퍼스에서 친구들과 막걸리를 마시고 떼창으로 부르던 발라드풍의 가요다.

그에게 메기의 추억은 청춘에 대한 그리움의 광장일 터이다. 갓 대학에 들어간 스물한 살 청년이 선배 혹은 친구들과 막걸리 잔을 부딪치면서 건배를 목청껏 외치면서 술잔을 입술에 댈 적마다 막걸리의 특유한 향은 짜릿할 정도로 미각을 자극했을 것이다. 취기가 온몸으로 번지면 태산이라도 들어 올릴 것 같은 쾌활한 호기를 부리며 스크럼을 짜고 캠퍼스 잔디밭으로 몰려가 불렀던 노래를 기억의 파일에서 꺼내들고 밀대로 방바닥을 닦으며 흥얼거린다.

사람은 생물학적으로 육체가 노쇠해지면 지나간 날들을 그리워하게 된다. 서쪽으로 기울어가는 시간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는 데, 할일 없이 적막한 일상에 갇히면 궁핍으로 얼룩졌어도, 배신과 화합의 경계에서 골머리를 앓게 했던 사건들마저도 그리움으로 윤색된다. 별것 아닌 사소한 것들조차 그리움의 너울을 쓰고 웅얼거림으로 다가온다.

아내와 청소를 마치면 커피 타임으로 들어간다. 아내가 타준 커피를 마시는 그는 늙은 아내가 눈부처다. 삼시세끼 꼬박꼬박 밥상 차려주는 아내는 세상에 태어나 가장 오랫동안 함께 살아온 사이다. 아내 역시 남편이 눈부처다. 그가 없으면 무슨 재미로 삼시세끼 밥상을 차리겠는가.

부부란 정면에서 마주 보고 사는 것이 아니다. 옆에서 보폭을 맞추며 함께 가는 사이다. 그이는 커피타임이 끝나면 자기 방으로 들어가 조선일보와 동양일보를 읽는다. 그 다음은 한 시간 산책하고 돌아와 두 시간 정도 낮잠을 즐긴다. 대신 밤이면 이슥하도록 고전을 읽는다. 눈부처 옆에서 마음 내키는 대로 인생의 뜰을 거니는 천진한 지구의 소요인(逍遙人)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