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제공]
[동양일보 김민환 기자]주간농사정보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5.9~27도)보다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16.6~79.4㎜)과 비슷하거나 많겠다.
■벼
이삭 생길 때부터 팰 시기까지는 환경에 민감하므로 물 관리 철저
△병해충방제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먹노린재 등 적용약제 방제
■밭작물
△콩
콩의 생육 상황을 고려해 웃거름 주기(개화기, 비대기 종실 불량 시유안 4~6㎏/10a 시용)
■채소
△고추
고온기 지속적 관수로 수분 유지 및 석회결핍 예방
△고랭지배추·무
고온이 지속되면 정식 25일 이후 무름병 발생이 심해짐으로 1주 간격으로 예방적 약제 살포
△마늘·양파
씨마늘 준비, 양파 조생종 가을뿌림 재배 8월 중~하순 파종
■과수
△침수피해 후 관리
쓰러진 나무는 일으켜 세우고 뿌리 주변 흙을 채우고 지지대로 고정, 2차 감염 방지를 위해 살균제 살포·병해충 방제, 많이 손상된 나무 4종 복비 엽면살포
△과원 관리
31도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 적기 물주기, 가지 유인 등 햇볕데임 피해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수세안정 위해 늦게 제거하고 피해 심하면 바로 제거
■화훼
△포인세티아
삽수는 청결한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하여 5∼8㎝ 길이로 자르고 삽목 도구들은 소독액에 자주 담가 병의 전파를 막음
■특작
△인삼
고온 피해가 우려되는 포장은 2중직 차광막을 덧씌우고, 토양 수분이 부족하면 고온 피해가 증가하므로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함
△버섯
균 기르기를 할 때는 한낮 고온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가능한품종특성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하여 균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함
△약용
구기자는 열매가 익는 대로 수시로 수확 해주고, 열풍 건조한 경우는 열매 크기에 따라 건조 온도와 시간 준수
■축산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폭염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냉방시설 가동·환기 실시, 깨끗한 물 급여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양봉
△봉군 관리
봉군의 내검 시간은 새벽 6~9시 사이가 이상적
△수벌 양성
무밀기로 수벌을 인위적으로 양성해야 하며, 당액과 화분떡을 충분히 공급해 가상의 유밀 상황 조성
△병·해충 관리
8월은 꿀벌응애 최대 번식기로 약제 방제·생태방제 등 종합 방제로 증식 억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