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제공

[동양일보 김민환 기자]주간농사정보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4.4~26도)보다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14.8~51.2㎜)과 비슷하거나 많겠다.

■벼

△후기 논 관리

쌀 품질과 크게 관련 있는 완전 물떼기 시기는 출수 후 30∼40일경이 적기

△병해충방제

이삭도열병, 흰잎마름병, 깨씨무늬병, 노린재류, 멸구류 등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기 방제

■밭작물

△콩

콩 잎줄기마름병, 노린재 등 병해충 방제, 과번무 개체 측면 순지르기

△고구마

일조 부족 또는 지상부 웃자란 경우 칼리질 비료를 엽면시비 해줌

△참깨

1모작(5월 파종)은 적기수확, 2모작(6월 파종)은 순지르기 실시

■채소

△고추

고온기 토양 수분 유지, 웃거름은 알맞은 양을 시비, 적기 수확 실시

△고랭지배추·무

노균병, 무름병 등 방제 철저, 석회결핍 시 엽면시비

△시설채소

침수 피해가 심하거나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해 전염원 차단

■과수

△폭염기 과원관리

31℃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 적기 물주기, 가지 유인 등 햇볕데임 피해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수세안정 위해 늦게 제거하고 피해 심하면 바로 제거

△태풍 대비

배수로 정비, 가지 끈으로 고정하고 버팀목 세워줌, 방풍망 점검

■화훼

△국화 고온관리

관생화, 꽃잎 이상 등 고온장해 발생 예방을 위해 주간온도를 30℃ 이하로 관리

■특작

△인삼

집중호우로 인한 생리장해와 탄저병, 점무늬병 등 병해충 발생이 증가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대비

△버섯

버섯 균 기르기 동안 한낮 고온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정밀한 온도 관리 필요 하며 환기와 습도 관리로 신선한 재배사 공기 유지

△약용 작물

생육상태 관찰 후, 8월 하순까지 웃거름 사용으로 생육을 좋게 함. 가을에 심을 약초 종자나 종묘는 미리 준비

■축산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폭염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냉방시설 가동·환기 실시, 깨끗한 물 급여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 활동 철저

■양봉

△폭염 봉군 관리

급수기 등을 이용한 물 공급은 오염된 물의 유입 방지에 효과

△양성벌 양성

봉군의 세력에 따라 매주 1∼3회, 1회에 1ℓ 내외 당액 공급

△병·해충 관리

우천 시 봉군 관리, 부저병 발병 초기 처방에 따라 항생제 사용하여 처리. 백묵병은 벌통 내를 환기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