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동양일보 김민환 기자]주간농사정보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2.3~23.7도)보다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12.8~83.7㎜)과 비슷하거나 많겠다.
■벼
△후기 논 관리
쌀 품질 향상을 위해 완전 물떼기는 이삭 팬 후 30~40일경 적기, 수발아 발생한 논은 가능한 빨리 퇴수하고 조기 수확
△병해충방제
잦은 강우로 이삭도열병, 세균벼알마름병, 이삭누룩병 등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기 방제 실시
■밭작물
△콩
기상재해에 주의하고 노린재, 탄저병 등 병충해 적용약제로 방제
△수확
2모작 참깨, 풋땅콩 수확, 고랭지 여름재배 감자 적기수확
■채소
△고추
80% 이상 붉어진 고추는 즉시 수확, 수확 종료 후 잔재물 제거
△가을 배추·무
배추 아주심기(중부 9월 상순, 남부 9월 중순), 무 본 잎 4~5매 때 솎음
△마늘·양파
씨마늘 준비, 양파 가을파종 품종별 재배(8월 중순~9월 중순 파종
■과수
△사과 착색관리
웃자란 가지 유인 또는 제거하여 햇빛 투광량 증대, 잎 따주기와 과일 돌려주기, 반사필름 피복, 수확 전 수분 관리를 통한 착색증진
△기상재해 대비
수확기 태풍, 집중호우, 강풍 대비 지지대 보강, 열매 가지 고정, 바람이 심한 곳은 방풍망 점검, 배수로 정비 및 토양유실 방지
■화훼
△국화
12월 하순에 출하를 계획하는 경우 8월 하순부터 전조재배 필요
■특작
△인삼
가루깍지벌레는 주로 4년생 이상의 고년근 포장에 발생하므로 발생초기에 지상부를 제거하고 등록약제를 뿌려 방제함
△느타리버섯
균사 배양 중 솜의 온도가 23~28℃가 되도록 관리하고, 버섯 파리 발생이 많은 시기이므로 유입 차단 등 방제를 철저히 함
△약용
황기는 통풍을 원활히 하여 흰가루병 발생을 예방하고, 지황‧천궁 등은 근경 비대 시기이므로 토양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
■축산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폭염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냉방시설 가동 및 환기 실시, 깨끗한 물 급여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양봉
△봉군관리
9월 중하순 월동벌을 키워낼 일벌의 양성을 마무리하는 시기로 당액 공급과 화분공급에 부족함이 없도록 조치
△가을왕 육성
구여왕벌 교체는 철망유입법을 이용하되, 중요한 왕의 경우에는 어린 벌 이용 유입이 가장 안전
△병·해충 관리
응애류, 말벌, 나방, 거미 등 방제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