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원 청주시 상당보건소 보건정책과 주무관
[동양일보]청렴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 가치가 단순한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으로 적용될 때, 비로소 그 의미를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이러한 청렴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하는 중요한 문헌이다.
정약용은 조선시대의 실학자로, ‘목민심서’를 통해 당대의 부패한 관료 사회에 대한 비판과 함께, 청렴한 공직자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제시했다. 목민심서에서 정약용이 강조한 청렴 정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직자는 자신의 행동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정약용은 공직자가 개인의 이익보다 국민의 권익과 복리를 우선시해야 하며 이는 공정한 정책 결정과 책임 있는 행정 집행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둘째, 투명한 행정 처리를 해야 한다. 정약용은 공직자가 자신의 행위와 결정 과정에서 투명성을 유지하고 법과 규정을 공정하게 적용하는 것이 부패를 예방하고, 국민들이 공직자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했다.
셋째, 청렴한 공직자는 항상 자신을 반성하고 개선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정약용은 공직자가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고, 자신의 실수와 부족함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자기 성찰은 개인의 성장과 더불어 도덕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과 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청렴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겨져야 한다. 그가 제시한 원칙들을 현대 사회에서 적용함으로써 오늘날 공직자들이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진정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조선시대의 산물이지만, ‘공직자의 기본서’라고 할 정도 올바른 공직자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속에 담긴 청렴의 원칙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부분들이다.
청렴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단순히 개인의 도덕적 책임을 넘어서, 사회 전체의 문화와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이러한 청렴의 정신을 일상 속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귀중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부패와 신뢰의 위기 속에서, 그의 지혜가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청렴한 자세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인 가치로 자리 잡아야 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정약용의 사상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필요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점에서 찾을 수 있으며, 우리는 그의 가르침을 통해 청렴한 사회, 공정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