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동양일보 김민환 기자]주간농사정보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8~10도)과 비슷하거나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2.8~9.1㎜)과 비슷하겠다.

■벼

△건조·저장

일반용은 45도, 종자용은 40도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도,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토양검정

작물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하고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해 시비처방서 발급

△농기계 관리

수확 작업 마친 농기계는 관리소홀시 내구연한이 단축될 수 있으므로 점검‧관리 철저

■밭작물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도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를 12~15도, 습도 80~85%에서 일주일 정도 실시 본저장은 3~4도, 습도 80~85%에 보관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채소

△딸기

야간온도 5도 이상 유지, 개화기 잎 5~6매 확보, 개화초기 수정벌 투입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 11월 중순~12월 중순 땅이 얼기 전에 비닐 덮음

△시설채소

흰가루병, 총채벌레, 가루이, 작은뿌리파리 등 발생 초기 방제

■과수



△배 수확 후 관리

수확 후 상처과, 생리장해과, 병해충과, 과숙과는 선별하고 예건 후 저장하여야 장기간 보관 가능

△저장

입고 전 저장고 온도 0도, 습도 90%, 최대적재량 저장고 부피 70∼80% 유지

△단감

생과 출하용(과정부 6, 과저부 5), 저장용(과정부 5, 과저부 4) 색도계 사용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화훼

△장미

시설 내 온도 관리를 위해 난방 시작, 밤 온도 15~18도로 관리, 일교차가 커지면 온실 내 습도 높아질 수 있으므로 습도관리

■특작

△인삼

노동력 분산을 위해 파종 직후 해가림 시설을 가설하고, 이듬해 봄철 발아기에 피복물을 설치

△약용

구릿대는 중북부지역은 가을파종을 하는 것이 좋으며, 우슬과 고본은 잎이 누렇게 변할 때 뿌리가 상하지 않게 수확

■축산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환절기

큰 일교차 대비 축사시설 방풍과 보온관리 철저, 축사 내부 청결관리

■양봉

△월동준비

일벌 수에 맞춰 월동벌집 매수 축소, 월동먹이 공급을 종료하고 보온·월동벌집 배치, 빈 벌집 보관, 합봉 등 월동준비

△병·해충 관리

월동 전 응애류 최종 방제 실시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