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박승룡 기자]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라는 국민의 열망을 국민의힘은 무참히 짓밟았다.

2024년 12월 7일 밤 9시 40분 국회 본회의장, 국민들은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부결된 이 순간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정족수 미달로 탄핵소추안은 자동 폐기됐지만, 이 순간 100만명의 국민은 국회 앞에서 “윤석열 탄핵, ‘윤건희(윤석열+김건희)’ 퇴진”을 외치고 있었다.

부결 소식을 접한 외신들도 ‘피로스의 승리(월스트리트저널)’, ‘한국 대통령, 짧게 끝난 계엄에 따른 탄핵 시도를 피했다(AP통신)’, ‘괴로운 윤석열은 탄핵 표결 후에도 비틀거리며 나아간다(로이터통신)’ 등의 제목으로 한국의 정치 상황을 비아냥 거렸다.

특히 로이터·뉴욕타임스(NYT)·BBC 등은 이날 내내 ‘라이브 업데이트’ 형식으로 표결 전후 국회 안팎의 실시간 상황을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칼 프리드호프 국제문제협의회의 한국 담당 연구원은“(탄핵소추안 부결)이를 계기로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국제사회에서 더욱 고립될 것”이라며 “국민의힘이 나라보다 당을 먼저 생각하는 결정을 함에 따라 최악의 결과가 나왔다”고 평가했다.

최악의 결과가 최악의 평가를 내 논 것이다.

외국사회도 한국의 비정상적인 정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증명하는 대목이다.

국가적 망신은 더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한반도 문제 전문가 중 하나로 꼽히는 빅터 차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연구소(CSIS) 석좌는 “한국이 정치적 위기를 겪은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지만, 이번에는 민주주의의 회복력이 불확실하다”며 “집권 내내 민주적 가치와 자유를 내세운 윤 대통령이 국내에서 가장 비민주적인 행위로 기억될 것이란 점은 아이러니”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에 기고했다.

외신의 주목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다.

민주주의를 외치며 탄생한 윤 정권이 민주주의를 짓밟으며 붕괴되는 현 상황을 비하한 것이다.

국내 상황도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언론계, 법조계, 노동계, 여성계, 농업계, 의료계, 시민·사회단체 등 너나 할 것 없이 윤 대통령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역대 노무현, 박근혜 탄핵이 추진됐을 때도 국민적 반항이 이렇게 심하지는 않았다.

특히 언론계(방송·신문·통신 등)는 주요 기사를 방송이나 보도할 때 더 이상 대통령의 칭호를 붙이지 않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등 9개 현업 단체 관계자는 “지난 2년 반 동안 수도 없는 언론탄압과 방송장악, 비판 언론에 대한 입막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언론인들은 국민의 주권을 위임받은 자이기에 윤석열에게 대통령의 칭호를 붙여왔다"며 "하지만 오늘 이 시간부터 윤석열은 더 이상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언론계에서 바라보는 윤석열 대통령은 이제 대통령이 아닌 윤석열씨다.

칭호를 붙이지 않는 것은 단순한 반항이 아닌 국민을 위한 마지막 대응인 것이다.

일부 정치세력이 자신들만의 이익과 사익을 추구하기 위해 탄핵소추안을 부결한 만큼 그들은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영원히 반역자라는 이름을 지우지 못할 것이다.

국민들은 어두원진 대한민국을 위해 촛불을 다시 밝히고 있다.

국민의 ‘민주주의 꽃’이라 불리는 촛불집회는 여의도 광장을 넘어서 전역으로 확대될 것이다.

역사의 죄인이 되지 않기 위해선 국민힘은 더 이상 윤 정권의 퇴진을 비호해선 안된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2항,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