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정래수 기자]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기온이 뚝 떨어지고 건조해져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강해진 가운데 실내에 많은 인원이 밀집하면서 감염자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보건 당국은 1월 중순 이후 인플루엔자와 코로나가 동시에 확산하는 ‘트윈데믹’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전망한다.

2일 질병관리청과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5~21일 병원을 찾은 외래 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 환자는 31.3명이었다. 전주(13.6명) 대비 2.3배로 늘어난 것이다. 질병청은 전국 의료 기관 약 300곳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감시 체계를 가동 중인데, 38도 이상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면 인플루엔자 의심 환자로 분류한다.

이번 인플루엔자는 특히 7~18세 어린이·청소년에게 빠르게 번지고 있다. 13~18세 환자는 지난해 12월 첫 주(1~7일) 1000명당 15.3명이었지만, 2주 만에 74.6명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7~12세도 1000명당 13.8명에서 62.4명으로 약 5배가 됐다. 최근 검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대부분 A형으로, 감염되면 보통 기침과 인후통이 나타난다. 방역 당국은 지난달 20일 인플루엔자 유행 주의보를 발령했는데, 이달 중하순쯤엔 외래 환자 1000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환자가 50~60명 선까지 올라 정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엔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역시 늘고 있다. 질병청 표본 감시 결과, 지난해 11월 말 80명이었던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지난 12월 3주 차에 247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물이나 어패류, 채소류 등을 섭취했을 때 감염된다.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각종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려면 ‘백신 접종’이 가장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노로바이러스는 예방 백신이 따로 없기 때문에 손 씻기 등 기본적인 위생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이다. 돌연변이에 취약한 RNA로 구성돼 변이가 빈번하게 나타나 고열에 심한 두통과 근육통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어린이 환자가 확산하고 있어 철저한 주의가 요구된다. 영유아가 감염될 경우 보챔, 수유량 감소, 쌕쌕거리는 숨소리, 재채기, 무호흡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 국내에서는 지난해까지 독감에 의한 사망자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들의 사망률이 매년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 전문가들은 이들 중 당뇨병과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기저질환자들이 고위험군이라고 경고했다. 고령의 기저질환자들은 면역시스템의 노화, 신체 쇠약 등으로 폐렴과 같은 합병증과 입원 위험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곧 높은 사망률로 이어진다는 이야기다. 독감으로 인한 고령자 사망률이 높은 이유다.

올겨울에 여러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어 감염 예방수칙을 빈틈없이 지키는 게 중요하다. 그까짓 감기쯤이야 하고 경각심을 늦춰선 안 된다. 독감이 유행할 때 가장 확실한 대비책은 개인 방역과 독감 백신 접종이다. 무료접종은 생후 6개월에서 13세 사이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전지역 의료기관 중 예방접종 참여 의료기관에 문의 후 방문하면 맞을 수 있다. 더는 독감이 확산되지 않도록 각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