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1.2~3.4도)과 비슷하거나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2~6.4㎜)과 비슷하거나 많겠다.
■벼
△볍씨 준비
자가채종 및 자율교환 종자 사용할 때는 종자활력검사를 받은 후 사용
△농기계 관리
봄철 사용 전 연료관, 연결부, 엔진오일 등 점검·정비
■밭작물
△고구마 육묘
씨고구마는 살균제로 소독하거나 온탕소독, 묘상 설치·관리
△맥류
생육재생기 웃거름 적기 시비
△감자
시설재배 적정 온도 및 수분 유지, 봄재배 산광싹틔우기 실시
△정부보급종신청
신청기간(읍·면·동): 2월1일~3월15일 공급 품종: 두류 8품종
■채소
△봄배추
아주심기 일주일 전부터 요소 0.1%액을 살포해 생육관리 하고 육묘상 온도는 13도이상으로 관리
△시설채소
광, 온도, CO2 등 시설 내부 환경관리, 화재예방 일상점검
△고추
모가 웃자라지 않도록 알맞은 온·습도 관리, 육묘상이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
△마늘·양파
얼었던 땅이 풀리면 생육상태에 따라 웃거름을 주고 솟구친 포기는 눌러주거나 흙 덮기 실시
■과수
△언피해 후 관리
수피 파열된 부위 밴딩처리(묶어줌), 병해충 방제, 착과량 확보 등
△동계전정
과수원 청결 관리, 과수원용 작업복·신발 구별 사용, 전정가위 소독 후 사용
△모묙
품종이 정확, 잔뿌리가 많고 눈이 충실한 묘목, 병해충이 없는 묘목 선택, 겨울에 춥고 건조한 지역은 가급적 봄 묘목 식재(3월 중·하순 전에 식재)
■화훼
△심비디움 분화 출화
화경당 개화가 50~60% 이상 개화되었을 때 수확해 출하, 출하는 화경 꼭대기의 소화 4륜이 미개화한 시기에 함
■특작
△인삼
봄철 배수 관리 철저, 폭설로 피해를 입은 해가림 시설은 우선복구 및 차광망(지) 관리 필요
△약용작물
구기자는 삽수 준비, 삽식 후 충분한 관수 필요
△느타리 버섯
봄재배는 배지 수분함량을 65~70%로 조절하고 종균 접종량은 평균 3.3㎡당 8~10병을 배지표면과 내부에 접종
■축산
△AI·구제역·ASF
농장 안팎 세척 및 소독, 농장근로자 소독·세척 수칙 준수
△가축돌봄
적정 온습도/청결유지, 그리고 어린 가축 보온으로 가축 행복도 향상
△화재 예방
겨울철 전기 사용량 증가 대비 전기시설 안전점검 및 농장 내 소화기 비치
■양봉
△벌통 내검시기
따뜻하고 청명한 날 11시에서 14시 사이 신속히 수행
△유충 발육 관리
벌집 한 장당 3000마리 일벌이 붙어 있을 정도로 벌집 조정
△화분 급여
화분은 유충 발육의 단백질원으로 대용화분을 만들어 공급, 깨끗한 물 인위적 보급
△응애 관리
이른 봄부터 응애 방제를 실시해야 응애 밀도 조절에 효과적
△보온 유지
여왕벌 산란 시작 시 봉군 내 온도 유지를 위한 내·외부 보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