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영 유원대 교수

▲ 백기영 유원대 교수

라이즈(RISE) 사업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대학이 협력하여 지역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체계다.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취업과 창업을 통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발전 생태계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이 지역을 살리고, 지역이 대학을 키운다’는 선순환 구조를 실현하며, 지역 대학이 지역 발전의 중심 허브로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 기존 중앙집중식, 하향식 지원 방식은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라이즈 사업은 지방분권적이고 상향식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대학 재정지원이 지역혁신과 밀접하게 연계되도록 전환해야 한다.
충북도는 라이즈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설정하고, 충북의 전략산업과 연계한 특화된 인재 양성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 기업과 협력하여 산학연계를 강화하고 실무 중심의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지역 내에서 인재가 성장하고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여 대학이 기업의 연구·개발(R&D) 인력 양성을 주도하고 창업을 장려하는 환경을 구축하며, 창업 단계별 맞춤형 지원 플랫폼을 운영하고 지역 기업과의 공동 연구 및 기술이전을 확대해 가야 한다.
평생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중장년층의 재교육과 직무 전환을 지원하는 디지털 융합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충북의 산업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평생교육 체계를 구축하여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맞춰 지역 주민들이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경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젊은이, 외국인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지역 산업 발전과 인구 감소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한다.
국내외 유사한 사례를 참고하면 충북 라이즈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와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는 지역 대학과 산업체가 협력하여 연구 개발을 촉진하고 스타트업을 육성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는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는 바이오·제약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연구 성과를 산업화하고 창업을 장려한 사례로, 충북의 바이오·헬스케어 산업과 유사한 발전 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모델이 된다. 일본의 도야마현은 지방 대학과 지역 기업이 협력하여 의약품과 정밀화학 산업을 집중 육성한 사례로, 충북의 의료 IT 및 바이오 산업과 연계된 발전 모델로 활용할 수 있다.
라이즈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이 필수적이며, 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지자체-대학-산업계 간 긴밀한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주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대학 졸업생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 일자리, 창업 지원 패키지를 마련하고, 청년과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정주 지원 정책을 운영하며, 대학 캠퍼스를 지역 문화와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대학은 지역 관광, 문화, 환경 개선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하여 지역사회와 협력한 문제 해결형 연구를 수행하고, 지역 맞춤형 창업과 일자리 창출 사업을 공동 추진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방 대학은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 혁신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산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기업과 협력하여 연구와 기술 혁신을 주도하며, 평생교육과 창업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
충북 라이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충북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지역으로 도약할 수 있으며, 지역 인재가 떠나지 않고 지역에서 꿈을 펼칠 수 있는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대학과 지역이 상생하는 모델이 될 것이다. 충북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지역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