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호 프라임병원장
요즘처럼 날씨가 풀리면 야외 활동이나 운동을 시작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어깨를 움직일 때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고, 밤에는 통증 때문에 잠을 설치게 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바로 어깨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4개의 힘줄(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말합니다. 이 근육들은 팔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시킬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해줍니다. 이 중 가장 흔히 손상되는 부위는 ‘극상근’이라는 힘줄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혹은 반복적인 어깨 사용으로 이 부위에 마모나 찢어짐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왜 생길까?
가장 흔한 원인은 퇴행성 변화입니다. 보통 50대 이후부터는 힘줄의 탄력과 혈류가 떨어지면서 작은 충격에도 손상이 생기기 쉽습니다. 이외에도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드는 직업, 골프나 테니스처럼 어깨를 자주 쓰는 운동, 갑작스러운 외상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깨가 아프고 팔이 안 올라간다면
회전근개 파열이 있으면 팔을 위로 들거나 뒤로 젖힐 때 통증이 느껴지고, 옷을 입거나 벗을 때 불편함이 생깁니다. 특히 밤에 누우면 통증이 심해지고, 잠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열이 심해지면 팔을 아예 들어 올릴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엑스레이나 초음파, MRI 검사를 시행합니다. 초음파는 검사 중 어깨를 움직이면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어 손상 부위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고, MRI는 파열 범위나 주변 조직 손상까지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꼭 수술해야 하나요?
파열의 정도와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달라집니다. 부분 파열이거나 통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운동치료만으로도 회복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파열 범위가 크거나,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과 기능 제한이 계속된다면 관절경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1cm 이하의 작은 절개로 카메라를 넣어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이 일반화되어, 회복 기간도 많이 단축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예방’입니다.
어깨는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느리고 재활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평소 어깨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어깨 대신 다리와 허리의 힘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 통증이 오래간다고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진료를 받는 것도 회복을 앞당기는 지름길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몸의 각 부위는 마모되고 약해지기 마련입니다. 어깨 건강도 예외는 아닙니다. 불편함을 무시하지 말고 내 몸의 신호에 귀를 기울여보세요. 조기 진단과 치료만으로도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