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16.3~17.5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 (9.3~24.1㎜)과 비슷하거나 적겠다.
■벼
△못자리 관리
지역별 적기 파종, 적정 물관리 및 온도 유지, 백화묘 및 들뜬모 사전 예방 및 조치
△모내기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모내기해 수량 확보 및 미질 향상 도모
△거름 주기
질소질 비료의 과잉은 쌀 품질 저하의 원인이므로 적정 시비 실시
△잡초방제
모내기 전·후 두 차례 방제하고 처리 후 3~5㎝ 깊이로 5일 이상 담수
■밭작물
△고구마
70~75cm 폭으로 두둑 만들기 및 비닐 멀칭, 적기 정식
△콩
적기 파종, 논 콩 배수구 설치, 파종 후 제초제 처리
△참깨
적용약제 이용 종자 소독, 비닐피복 및 지역별 적기파종
△들깨
종자 직파 및 육묘 후 이식재배
△수수
적기 파종, 모가 10~15㎝ 자랐을 때 옮겨 심음
■채소
△노지고추
이주심기 후 지주설치 및 유인, 생육상태에 따라 웃거름 주는 시기와 양 조절
△마늘・양파
구비대기 물주기, 노균병·잎마름병 방제 실시
△배추‧무
고랭지 배추 육묘 시 방충망 피복 및 순화, 봄무 웃거름 주기
■과수
△관수관리
세포분열기(세포수 증가, 신초생장, 꽃눈분화 등) 물관리 철저(1~2시간 관수하고 일정시간 멈추었다가 다시 관수、사질토 여러번)
△우박피해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 살균제 살포하여 2차 감염 방지
△열매솎기
사과는 만개 2주 후부터 시작해 6월 상순 이전 마무리, 배는 생리적 낙과 지나고 착과 안정되면 실시, 복숭아는 예비·본 열매솎기 실시
■화훼
△국화
흰녹병에 강한 품종 및 건전한 모본사용, 과다하게 질소질 비료를 시용하지 말고 농약은 한 종류의 연용은 피하고 교호 살포해 줌
■특작
△인삼
점무늬병, 잿빛곰팡이병 등 병해충 방제 철저, 돌풍 피해 시설 보수
△오미자
봄철 관수 관리, 뽕나무 깍지벌레 5월 하‧중순 약충시기 방제
△느타리버섯
배지 내 초기온도 25도 이하, 버섯파리 유입 방지 방충망 설치
■축산
△AI‧구제역·ASF
농장·근로자 소독 생활화, 구제역 백신접종 등 차단 방역 철저
△화재예방‧사후관리
안전점검 및 인화성물질 제거, 화재발생 후 가축 면역관리
△고온대비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송풍팬 및 환기시설 점검, 바닥관리
■양봉
△유밀기 벌무리 벌집 배열
꿀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빈 벌집과 덧통을 활용
△분봉열 예방
분봉열 발생을 예방하여 채밀용 벌무리 관리
△채밀군 편성
채밀군을 편성하고 고품질 꿀을 얻기 위해 정리채밀 실시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