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태 충북도의회 의원

▲ 조성태 충북도의원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은 청년층의 표심을 겨냥한 공약들을 내놓고 있다. 일자리, 주거, 교육, 금융 등 청년의 삶 전반을 포괄하는 정책이 경쟁적으로 제시되면서, 청년세대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부각 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청년들이 체감하는 현실은 이러한 공약과 괴리를 보이며, 정책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청년들이 처한 삶의 조건은 지역 간 격차를 중심으로 더욱 심화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는 수도권에 집중되고, 집값은 감당하기 어려우며, 미래는 불투명하다”는 호소는 이제 개별적 불만이 아닌 구조적 문제의 단면이 됐다.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일자리, 주거 안정, 문화·복지 인프라가 수도권에 편중된 현실 속에서, 충북도를 비롯한 비수도권 청년들은 더 큰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하고 있다.
많은 청년들은 선거 시기마다 반복되는 공약들이 근본적 구조 개선보다는 단기적 처방에 그칠 것이라는 회의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청년정책은 더 이상 일회성 복지나 선심성 접근으로는 실효성을 확보할 수 없다. 청년이 지역에서 일하고 정착하며 삶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일은 특정 세대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지역의 지속 가능성과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전략적 과제다. 청년이 떠난 지역은 활력을 잃고, 청년이 희망을 잃은 사회는 미래를 상실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역 산업과 청년의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정교한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 단순한 고용 기회 제공을 넘어, 청년의 직무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산업 생태계와 연동하는 구조적 접근이 뒷받침 돼야 한다.
아울러 청년의 지역 정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주거복지의 혁신도 병행되어야 한다. 공공임대 위주의 획일적 공급에서 벗어나, 청년의 생애주기와 수요를 반영한 유연한 주거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교육과 문화 인프라도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 단위로 균형 있게 확충돼야 하며, 단순한 시설 확장이 아닌 콘텐츠의 질과 접근성을 중심으로 생활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
이러한 정책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청년을 정책의 수혜자가 아닌 설계자이자 실행 주체로 세우는 것이다. 정책은 당사자의 목소리가 반영될 때 비로소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갖는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뿐 아니라 충북도와 충북도의회가 협력해 청년 참여를 제도화하고, 정책 수립 전 과정에 실질적 참여가 가능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갖춰야 한다.
청년정책은 단순한 선거 전략이 아니라, 충북도의 생존 전략이자 국가의 지속 전략으로 인식돼야 한다. 주거, 교육, 노동, 문화 등 청년 삶의 핵심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종합계획이 마련돼야 하며, 그 중심에는 반드시 청년의 경험과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 그래야 청년이 지역에 머물 수 있고, 충북도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이번 대선은 청년정책의 방향을 전환하는 중대한 계기가 돼야 한다. 이는 단지 당선자의 약속에 그쳐서는 안 되며, 어떤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반드시 실천해야 할 국가적 책무로 자리 잡아야 한다.
비스마르크는 “정치는 가능성의 예술이 아니라 책임의 예술”이라고 했다. 정치적 선택의 순간은 지나가더라도, 청년과 맺은 약속은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 약속이 지켜질 때, 청년은 당당히 미래의 주역으로 설 수 있으며, 정치는 청년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