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 선거의 사전투표가 29~30일 이틀 동안 전국 투표소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충청권은 대전 83개, 세종 24개, 충남 210개, 충북 154개 등 총 471개 투표소에서 사전투표가 치러진다. 이번 사전투표는 과거와 달리 주말이 끼지 않은 평일에만 실시된다. 출근 준비 부담 탓에 직장인의 참여율이 낮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계엄에서 조기 대선에 이르기까지 높았던 국민적 관심과 참여가 동력이 되면 예년 수준의 투표율은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사전투표는 갈수록 관심과 비중이 커지고 있다. 2017년 대선 때 26%였던 사전투표율은 2022년 대선에선 3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전투표가 사실상 본투표와 다름없는 중요한 일정으로 자리 잡았다는 의미다. 앞서 지난 20~25일 118개국에서 치러진 재외투표는 20만명이 참여해 역대 최대 투표율(79.5%)을 보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관리 부실과 투명성 시비를 의식해 만반의 대책을 세웠다고 한다. 구·시·군 단위로 대략적으로 공개하던 투표자 수를 1시간 단위, 각 투표소별로 공개하기로 했다. 사전투표함을 촬영하는 CCTV 영상도 24시간 공개한다. 투·개표는 물론 회송용 봉투 우체국 접수와 투표함 이송 등 전 과정을 외부 공정선거참관단에 보여준다. 투·개표 사무원 등 26만여명을 모두 한국 국적자로 운영해 선거개입과 조작 의혹을 차단할 방침이다.
이처럼 선관위가 사전투표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조직의 명운을 걸어야 하는 이유는 조직이 국민 불신의 중심에 놓였기 때문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사전투표가 부정선거의 온상이라는 음모론적 주장이 없지 않았고 국민의힘은 사전투표 폐지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다행히 이번 대선에 나선 주요 정당과 후보들 모두 지지층의 사전투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유권자들이 투표를 포기하는 것은 주권자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포기하는 무책임한 행동이다. 유권자들은 사전 투표와 관련된 근거없는 뜬소문에 흔들리기보다 각 후보와 정당의 정책과 비전을 꼼꼼히 살피고, 소중한 권리를 행사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대선 레이스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지만 각 후보의 네거티브전은 오히려 더 활개를 치고 있다. 선거전 초반엔 눈치라도 봤지만, 이제는 막말 리스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독설 경쟁에 더욱 매몰된 모습이다. 서로 강성 지지층만을 의식해 증오와 혐오의 정치를 부추기고 있다. 그러는 사이 민생과 직결된 정책·공약 경쟁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대선에서 각 후보마다 여러 공약을 내놓았지만 정작 유권자 기억 속엔 고소·고발과 막말이 기억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이번 대선은 혐오와 편가르기식 공격이 판을 쳤다. 본투표까지 마음을 정하지 못한 중도층을 끌어당기는 것이 각 정당의 최대 숙제일 것이다. 남은 며칠만이라도 네거티브를 중단하고 품격 있는 선거전을 펼치길 촉구한다. 최소한 막말·독설이라도 지금 당장 멈추기를 바란다.
결국 민주주의에서 유권자의 힘은 투표에서 나온다. 투표는 주권자의 권리이자 의무이기도 하다. 이번 대선에는 그 어느 때보다 극단적인 혐오와 편가르기가 판을 친다. 막말과 편법을 일삼은 후보를 둘러싼 자격미달 논란도 일었고, 국가의 미래를 진정 걱정하는 후보의 목소리는 찾아보기 쉽지 않았다. 이는 정치에 대한 환멸과 무관심만 부추길 뿐이다. 그렇다고 국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선을 외면하는 것은 주권자로서 무책임한 일이다.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해 냉철한 표의 심판을 해야 한다.
이번 대선은 계엄과 탄핵 사태로 분열된 나라를 어떻게 통합할지, 대한민국의 미래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는지를 경쟁해야 하는 선거다. 때문에 선거관리 당국은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관리로 국민 신뢰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사전투표가 또 한 번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로 빛나기를 기대한다.
좋은 정치는 정치인뿐만 아니라 국민이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다. 주권자의 책임이 더욱 무거워졌다. 선거전이 이제 막판에 이르렀다. 재차 강조하지만 선관위는 공정성과 관련한 어떤 논란도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엄정하고 철저한 관리에 끝까지 매진해 주길 당부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