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여년간 민간 소비 추세 증가율이 과거에 비해 연평균 1.6%포인트(p) 낮아졌다는 연구결과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은행은 1일 '인구구조 변화가 소비 둔화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24년 중 민간 소비의 추세 증가율은 연평균 2.0%로 추정됐다. 2001∼2012년(3.6%)에 비해 1.6%p 둔화했는데, 이중 절반이 인구 감소·고령화에 따른 것으로 추정한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이 가운데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둔화는 연평균 약 0.8%p로 추산됐다.
한은에 따르면 인구수 감소와 고령화가 보다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2015∼2030년 중에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증가율 둔화 폭이 연평균 1.0%p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구조에 따른 소비 둔화 0.8%p를 경로별로 보면, 중장기 소득 여건에서 0.6%p, 평균소비성향에서 0.2%p 낮아졌다.
중장기 소득 여건 측면은 인구수 감소(-0.2%p)와 인구 구성 변화(-0.4%p)로 노동 투입이 감소하고, 성장 잠재력이 저하되면서 소비가 0.6%p 둔화했다.
고용률·근로 시간·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핵심 생산 연령층(30∼50대)의 비중이 줄면서 노동 투입의 양과 질이 모두 악화한 탓이다.
평균소비성향 측면에서는 기대 수명 증가에 따르면 예비적 동기의 저축 증대(-0.1%p), 고령층 중심의 연령 분포 변화(-0.1%p) 효과가 경제 전체의 소비성향을 낮추면서 소비 증가율을 0.2%p 끌어내렸다.
한은은 "저출생·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급속한 고령화, 인구감소 등 인구구조 변화가 가계의 중장기 소득 여건을 악화시키고 소비 성향을 낮추면서 소비를 계속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향후 인구구조 추세를 고려하면 그 영향은 더욱 커질 전망"이라며 "가계부채 누증, 소득양극화 등 구조 요인도 소비를 둔화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경기적 요인에 따른 소비 둔화는 경기 대응 정책이 효과적이지만, 추세·구조적 요인에 의한 소비 둔화 현상은 구조개혁이 적합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 이후 자영업으로 과도하게 진입하지 않고 안정적인 상용 일자리에서 오랜 기간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같은 날 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중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이 전 연령대에 걸쳐 10년 전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세대별 소비성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한상의는 2014년과 202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소득과 소비지출 및 소비성향을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10년 전과 비교해 30대 이하를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소득이 늘었으나 이에 비례해 소비 지출이 증가하지 않았다.
가계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2014년 73.6%에서 2024년 70.3%로 3.3%포인트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69.3%에서 62.4%로 내려 하락 폭이 가장 컸다.
또 30대 이하(73.7%→71.6%), 40대(76.5%→76.2%), 50대(70.3%→68.3%), 70대(79.3%→76.3%) 등 전 연령대에 걸쳐 10년 전보다 평균소비성향이 하락했다.
특히 20대와 30대는 월평균 가처분소득(348만2000원→346만8000원)과 소비 금액(248만3000원→256만7000원)도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적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노동 투입 감소로 인한 성장 잠재력 저하를 완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는 각계의 전문가들로 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진작을 늘려야 할 것이다.
- 기자명 박승룡 기자
- 입력 2025.06.01 14:48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