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6.3 조기 대선 결전의 날이 밝았다.
앞으로 5년 동안 대한민국을 이끌 국정 최고의 책임자가 누가 되느냐가 결정되는 날이다.
이번 대선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에 따라 치러지는 궐위선거로, 새 대통령은 당선과 동시에 국정 운영에 들어간다.
많은 국민들은 지난달 29일~30일 사전투표에 참여했다. 역대 두 번째로 참여율이 높았다.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2일 충청권 각 정당 선대위, 당직자, 당원, 선거운동원이 대거 참석하는 총력 유세전을 펼쳤다.
이번 선거는 선거운동 초반부터 질서 없이 혼란하고 어지러운 혼탁의 연속이었다. 유권자가 어느 당 후보를 선택해야 할지 우왕좌왕의 연속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비방전이 극에 달했다.
정확한 근거 없는 사실로 상대를 모략하고 혼란하게 하는 정치적 술책을 일컫는 흑색선전은 물론이거니와 확실한 출처나 근거는 밝히지 않고 아리송하게 하는 회색선전은 도를 넘었다.
이번 조기 대선은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만큼, 사전투표율이 민심의 온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평가됐다.
사전투표 첫날 각 투표소에 긴 줄이 이어지며 전국 19.58%를 기록하면서 사전투표 도입 이래 역대 첫날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를 두고 분노한 민심이 표심으로 분출된 결과라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이튿날 분위기가 달라졌다. 오후 2시 기준 누적 투표율이 지난 대선 사전투표율에 역전당하며, 첫날 열기를 이어가지 못했다.
결국, 지난 대선 사전투표율(36.93%)에 비해 2.19%포인트 낮은 34.74%를 기록했다.
충청권은 세종 41.16%, 대전 33.88%, 충북 33.72%, 충남 32.38%를 기록했다. 지난 대선 사전투표율은 세종 44.11%, 대전 36.56%, 충북 36.16%, 충남 34.68%였다.
역대 두 번째 높은 사전투표율을 놓고, 정치권에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은 ‘내란 종식을 바라는 국민의 열망’이라고 평가한 반면, 국민의힘은 선거 관리가 부실했던 점을 집중 비판했다.
대통령이 선출되면 비난의 화살과 정치적 후폭풍이 어느 방향으로 날아갈지도 관심거리다.
각 후보들이 충청권에 쏟아낸 공약이 단순 나열을 넘어 실제 이행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은 물론,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가 공공기관 지방이전,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건설 등 굵직한 공약이 쏟아졌다.
하지만 지자체 간 경쟁으로 충돌하거나 법 개정 또는 국정 과제 반영 없이는 추진이 어려운 사안이 대다수를 차지하면서 공약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도 나온다.
각 후보와 선대위가 압축된 일정 속에서 공약을 나열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실제 추진력 확보를 위한 구체적 로드맵이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집권 이후 국정 우선순위에 포함되지 않은 사업들은 사실이 이행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국가균형발전·지방분권·상생발전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 등 사회단체는 각 후보는 공약으로 반영된 의제를 차지 정부 출범 이후 적극 추진해 나감과 동시에 반영하지 않은 의제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해 국정과제로 반드시 반영할 것을 촉구했다.
실제 청주국제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신설을 공약했으나 특별법 제정에 대한 공약은 포함되지 않았다.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으나 구체적 추진 시기에 대한 내용은 부족했다.
따라서 차기 대통령 당선 직후 국정 우선순위 결정 과정에서 충청권이 함께 공약 이행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서야 한다.
- 기자명 지영수 기자
- 입력 2025.06.02 20:50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