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관리 실태조사’첫 실시...지역 맞춤 치매돌봄정책 신호탄
증평군보건소가 ‘소생활권 치매관리 서비스 이용 자체 실태조사’를 진행한다.
오는 9일부터 2주간 실시되는 조사는 읍·면 간 치매 돌봄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맞춤형 치매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로, 군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군은 자체 통계가 부족해 충북도 및 전국 평균치에 의존해왔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증평형 치매관리’의 정밀 설계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조사는 증평군 치매안심센터가 직접 마을을 방문해 1대 1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되며, 생활권 중심의 치매관리 서비스 이용 현황과 불편 요인 등을 면밀하게 파악할 예정이다.
현재 증평군은 1읍 1면 체제로, 대부분의 의료와 보건 인프라가 증평읍에 집중돼 있는 반면, 도안면은 보건지소 1곳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도안면은 치매 돌봄의 사각지대로 분류, 의료 접근성과 돌봄 서비스의 체감도에 뚜렷한 지역 차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군은 이 같은 현실을 개선하고자, 단순 행정구역이 아닌 '생활권 단위' 중심의 건강정책 설계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번 실태조사가 그 출발점이 될 전망이다.
군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권 중심의 치매관리서비스 보완과 신규사업 기획, 특히 의료취약지역 주민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보건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지역 내 치매관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실효성 있는 돌봄 정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주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증평 김병학 기자 kbh7798@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