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충북지부 설문
전교조 충북지부(지부장 김민영)가 26일 충북 교권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충북 도내 유‧초‧중‧고‧특수교사를 대상으로 6월 4~13일까지 실시됐으며 237명의 교사가 참여했다.
이번 설문에서 ‘3년 이내 교권침해를 당하신 적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56.5%가 ‘있음’을 선택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교육활동 침해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주체(중복 응답 가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4.6%가 ‘보호자’, 69.4%가 ‘학생’을 꼽았다.
‘아동학대 신고로부터 안전하신가요?’라는 질문에는 49.8%의 응답자가 ‘매우 불안’, 39.7%가 ‘대체로 불안’을 선택해 89.5%가 불안한 상태임을 드러냈다.
‘도교육청의 교권보호 정책에 만족하시나요?’에는 49.4%가 ‘대체로 불만족‘, 23.6%가 ‘매우 불만족‘을 선택해 응답자의 73%가 도교육청의 교권보호 정책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보호를 위해 학교나 교육청에서 필요한 정책은 무엇인가요?’에 대한 응답(중복 응답 가능)으로는 ‘악성 민원 대응 지원(전담팀 등)’이 85.2%, ‘관리자의 적극적 보호 및 지원’이 74.3%, ‘법률상담 및 소송 지원’이 70%로 1~3위를 차지했다. ‘피해교원과 가해자 즉시 분리 조치’가 62.9%, ’심리상담, 치료 지원‘이 51.1%로 뒤를 이었고, ‘교권보호 관련 연수 강화’는 14.8%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학교 민원대응시스템이 자리잡혔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8.8%가 ‘아니오’를 택했고, ‘특이민원 대응은 학교와 교육청이 함께 하나요?’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9.5%가 ‘아니오’를 택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이번 설문 결과는 교사 개인이 아닌 기관 차원에서 민원을 대응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함을 보여 준다”며 “법에는 학교장, 원장이 민원 처리를 책임진다고 적혀 있으나 이것이 구조적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명기 기자 demiankk@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