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인구추이가 심상찮다. 이번달 현재 10만 700명이다. 불안하기만 한 10만명대 턱걸이 상황에 시민들은 속이 타들어간다.
저출산으로 인한 국가적 재앙의 시간이 째깍째깍 다가오는 와중에 그나마 도시에는 인구가 몰려들지만 지방자치단체는 하루하루 피가 마른다. 특히 지역소멸 위기 도시들은 기존의 ‘인구 심리적 저지선’이 무너질까 노심초사다.
인구의 심리적 저지선이란 대체로 10만 이하 기초지자체의 ‘만명’ 단위를 일컫는다. 충남도내에선 2022년도에 보령시 인구의 10만이 무너졌고, 청양군도 지난해 3만의 벽이 속절없이 허물어졌다.
공주의 10만도 불안한데, 문제는 이런 인구 감소가 지자체의 노력으로 될 수 없다는데 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게 ‘생활인구’다.
생활인구는 정주인구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체류하며 지역의 실질적인 활력을 높이는 사람까지 포함한 인구로 통근, 통학, 관광 등의 목적으로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날이 월 1일 이상인 '체류인구' 와 주민등록인구, 외국인등록인구, 국내거소신고자인 '등록인구'를 더한 지표다.
공주시도 ‘나랏님’이 해결해야 할 출산인구의 근본적 증가뿐 아니라 지역이 소멸되지 않도록 생활인구 늘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그런 노력이 결실을 맺어 이번에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생활인구 변화 추이의 지표중 하나인 등록인구 증가 폭에서 공주시가 충남도내 1위를 기록했다고 한다.
행안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기준 공주시 체류한 내외국인은 총 40만 9584명이었다. 연령은 50대가 9만4949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7만 1904명의 40대가 차지했다. 주로 자녀와 부부 등 가족들을 데리고 공주를 찾은 관광객들일 것으로 보인다.
시는 현재 충남에서 생활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받은 지방소멸대응기금 5억원을 활용해 추진중인 주말농장 '공주여-U' 사업, 농촌의 열악한 주거 여건 개선을 위한 충남형 농촌리브투게더 사업, 우성면 어천~죽당 간 국가정원 조성사업 등 다양하다.
이같은 노력의 배경에는 지역소멸을 우려하는 도시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4도3촌’의 개념도 크게 한몫 한다. 과거 5도2촌에서 하루 더 늘려 도시인들이 3일 정도를 농촌에서 머물게 하자는 취지다.
핵심은 도시인들이 농촌에 와서 편히 쉴수 있는 ‘쉼터’다. 쉼터가 숙박 기능을 넘어서 도시민들이 농촌 생활·문화를 체험하고 마을주민과 관계를 맺는 공간이 되도록 배려해야 생활인구 증가에 도움이 된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프랑스의 ‘지트’(체류형 숙소)와 독일의 ‘농장에서의 휴가’, 일본의 ‘에코 빌리지’ 같은게 있다.
인구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나 지자체나 팔을 걷고 전력을 투구하는 일은 손을 놓을수 없는 절박한 과정이다. 그 노력은 노력대로 하되, 그나마 있는 인구와 자원을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 머무르게 해서 지역소멸을 막는 역할은 전적으로 지자체의 몫이다. 공주시의 생활인구 증가가 박수 받는 이유다.
인구의 근본적 증가정책 외에 생활인구 늘리기 노력도 더 적극 펼쳐 전국적으로 농촌과 지역이 소멸되지 않고 그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했으면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