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충청 홀대가 지나치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이 지나면서 초대 내각 인사와 타운홀미팅 등 곳곳에서 역력하다.
지난 4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국민의힘 소속 충청권 4개 광역단체장들의 패싱 논란이 일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는 충청권 홀대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충청권 타운홀 미팅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지역민의 의견을 대표해 전달하는 충청권 4개 시·도지사는 초청도 받지 못했다. 미팅 주제도 새 정부 출범 후 충청권 최대 이슈인 해수부 이전과는 관련 없는 내용을 채워졌다.
충북의 경우 지역 최대 현안인 청주국제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신설을 비롯해 도민의 염원인 주요 현안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는 자리였지만, 기회조차 부여되지 않았다.
앞서 호남권 시도지사들이 초청받아 지역 현안이 심도 있게 논의한 광주·전남지역 타운홀 미팅과 대조적이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내년 지방선거 등 정치지형을 고려해 의도적으로 야당 소속 시·도지사를 배제한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에서도 충청 출신 인사 발탁 비율이 영·호남권에 비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 560만 충청권 주민들의 실망도 크다.
매번 나오는 ‘충청권 홀대론’이 새 정부 들어서도 여전하다는 게 지역 주민들의 시각이다.
충청권에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 대전 출신인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유일하게 발탁됐다.
하지만 이마저도 각종 의혹 제기로 낙마 위기다. 오는 16일 열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논문 중복게재 논란과 가로채기 의혹 등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2014년 박근혜 정부 때 지명된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논문 표절·중복 게재 등 의혹으로 낙마했다.
전체 19개 부처 장관 중 현재까지 인선이 안 된 국토교통부 장관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두 자리를 제외하고 더불어민주당 텃밭인 호남이 6명으로 가장 많다.
영남권이 5명으로 뒤를 이었고, 서울·경기 수도권이 3명, 강원 2명 순이어서 충청권 1명과 비교된다.
국토부·문체부 장관 후보자 지명만을 남겨두고 있으나 이마저도 경기 등 수도권 출신 몫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차관도 영·호남과 수도권 일색이다. 현재까지 호남권 5명, 영남권 7명, 수도권 3명, 강원 3명이다. 충청에서는 차관급인 국세청장과 행안부 재난안전본부장 2명에 그쳤다.
역대 정부 가운데 이재명 정부처럼 1기 내각에서 충청권이 이처럼 홀대 받은 적은 없다.
현재 충청권은 행정수도 완성과 혁신도시 이전, 메가시티 건설, 청주국제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 등 새 정부에서 추진 동력을 얻어야 할 현안이 수두룩하다.
이런 현실에 상응한 장·차관 배출이 저조해짐에 따라 대형 국책사업 차질과 지연 등이 우려되는 게 사실이다.
새 정부는 역대 선거 ‘캐스팅보트’를 쥔 ‘민심의 바로미터’인 충청권을 계속해서 홀대한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