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합의 조사 진행하면 응할 것”
김영환 충북지사가 2023년 7월 발생한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지사는 24일 도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회가 여야 합의로 국정조사를 진행한다면 당연히 응할 생각이지만 더 밝혀질 내용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침수에 의한 사고라면 국정조사가 필요하겠으나 이미 명백하게 임시제방 붕괴로 인한 사고로 밝혀졌다”며 “대법원 판결문도 임시제방 붕괴가 없었으면 사고는 없었다고 적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궁평 지하차도 내에 싱크홀이 생겼거나 차도가 붕괴했거나 모터 배수펌프나 폐쇄회로(CC)TV가 작동하지 않았으면 도로 관리상의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상 가동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얼마든지 도민을 대표해서 죄송하다”며 “국정조사에서 도대체 어떤 내용이 새로 밝혀질 수 있을지는 회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주 오송 참사 현장을 찾은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사고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했다”며 “다만 도지사로서 도의적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며, 도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오송 참사 추모 현판 설치와 관련 “실무적 논의 후 이 대통령이 묵념했던 사고 장소에 추모비를 조성하는 안을 유족들에게 제안 중”이라며 “지역구인 이연희 의원과 함께 설득에 나서 조만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오송 지하차도 양방향에 ’오송 참사 희생자 기억의 길‘이라는 가로 6m, 세로 30cm의 크기 현판 설치를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이를 두고 오송읍 일부 주민들이 반대의 목소리가 높다. 지하차도 주변과 KTX오송역을 비롯해 사람이 많이 다니는 거리마다 추모 현판 설치에 반대하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도는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생존자협의회·시민대책위원와 비공개 면담을 갖고 추모비 설치 요구를 받아들여 도청 내 연못 광장에 설치하기로 했다. 추모비는 높이 1m 정도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형태로 세워질 예정이며, 설립 시기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앞서 지난 23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원내대표 회동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 국정조사 추진이 협의됐다. 국정조사 요구안은 다음 달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도 받았다.
민주당 이광희(청주 서원) 국회의원은 지난달 30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호화 제주연수 논란으로 해임된 김용수 전 충북도립대 총장 임명 과정에서 명씨와 김영선 전 국회의원의 영향력이 작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김 지사를 겨냥한 바 있다.
이에 김 지사는 “예전에 아는 사이일 뿐 제기한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대꾸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해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