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농업기술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5~26.6도)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20.6~63.1㎜)과 비슷하겠다.
■벼
△후기 논 관리
6월 상순 모내기를 한 중생종, 중만생종은 출수 15일 전부터 이삭 팬 후 10일까지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함.
△병해충 방제
고온 환경으로 잎집무늬마름병, 키다리병, 이삭도열병, 노린재류, 멸구류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기 방제 실시.
■밭작물
△콩
콩 잎줄기마름병, 노린재 방제, 과번무 개체 측면 순지르기
△가을 감자
중부지방은 8월 상∼중순, 남부지방은 8월 중∼하순 파종 적기
△참깨
1모작 적기 수확, 2모작 순지르기 실시.
■채소
△고추
웃거름을 제때 알맞은 양을 주되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
△고랭지 배추·무
결구기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엽면살포, 영양제 및 요소 0.2%액을 살포하여 생육촉진
△시설채소
차광 및 환풍, 포그시설을 종합적으로 활용 4~6℃ 온도저감
■과수
△폭염기 과원관리
기온이 31도를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 적기 물주기, 가지 유인 등
△일소원인
강한 햇볕, 고온·건조 등 스트레스로 세포에 유해한 활성산소 발생
■화훼
△국화
관생화, 꽃잎 이상 등 고온 장해 발생 예방을 위해 주간온도를 30도 이하로 관리.
■특작
△인삼
고온 피해는 주로 1~2년생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고온기 예정지 관리 시 토양살충제를 살포하고 깊이 갈이 함.
△약용작물
고온기 흰가루병, 점무늬병, 탄저병 등의 병해와 응애, 진딧물 등 해충 발생이 쉬우므로 포장을 관찰하여 조기방제가 될 수 있도록 함.
△버섯
버섯 균이 자라는 동안은 호흡으로 인한 가스농도가 높아지므로 수시로 환기해 신선한 공기로 교환함.
■축산
△가축 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실시.
△고온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송풍팬 및 환기시설 점검, 주기적 소독 실시.
△집중 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실시.
■양봉
△폭염 벌무리 관리
차광막 설치 등 직사광선 차단 조치 반드시 실시.
△월동 자격군 양성
먹이 공급을 집중적으로 하여 부족함 없도록 조치함.
△병해충 관리
양봉장으로 말벌이 본격적으로 날아들기 시작하는 시기로 유인트랩 이용하거나 직접 포충망을 이용해 방제 실시.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