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정치 현수막 난립으로 보행 환경 위협은 물론 편향적 내용으로 유권자 피로감이 높아지고 있다.
더구나 각 정당이 내건 현수막은 누구나 볼 수 있는 장소에 내걸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메시지를 넣은 ‘마구잡이식’ 표현으로 정치 혐오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옥외광고물법에 따라 게시하는 정치 현수막은 게시 장소와 기간은 물론 통상적 정당 활동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여러 조항을 넣어 놨다.
해당 법안을 살펴보면 지난해 1월 각종 적용 배제 조항을 추가했지만, 일반 현수막 광고 규제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걸 금방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정당의 정치적 표현은 합법을 기반으로 삼아 총력을 기울이며 유권자를 호도하고 있다.
문제는 정치 현수막 난립과 혐오 문구다.
누구나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해 유권자들은 이 같은 문구를 보고 편향적 사고에 매몰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정당과 후보자 선택은 각 개인이 결정할 권리지만, 편향된 내용은 자칫 엉뚱한 방향으로 민심 향배가 흘러갈 요인이 있다.
여기에다가 도를 넘는 가짜뉴스까지 등장해 유권자를 혼란에 빠트리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부에서는 선거를 무효화해야 하고 부정선거 논리를 비약하거나 과장하고 심지어 다른 나라 개입설까지 천차만별 문구를 내걸어 유권자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
이를 일일이 확인하는 유권자가 과연 몇 명이나 될지 궁금하지만, 확인할 방도가 없다.
해당 정치적 선전 문구로 유권자 확증 편향 성향이 나타나 특정 정당으로 지지세가 쏠리면 이건 국가적 위기 상황이다.
이런 방식으로 정권을 거머쥘 수 있다면, 해당 현수막은 가성비 최고인 정치적 선동 방식이 될 게 분명하다.
이런 이유가 정치 현수막 난립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수막 개수를 따져보면 그 비용이 만만치 않아 결과적으로 어느 주머니에서 나오는 돈 인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정치인들은 입만 열면 민생을 외치고, 말 만하면 국민을 위한다고 한다.
그러나 불편을 겪는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는 사실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무분별하게 설치된 현수막은 도시 미관을 크게 해친다는 사실은 정치인만 빼곤 다 아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개선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거리 곳곳에서 정치적 내용이 담긴 현수막은 가로수와 간판 사이에 어지럽게 매달려 도심 경관을 저해한다.
시민에게 지나치게 많은 정보가 제공돼 오히려 주목도가 떨어지는 역효과가 발생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누구를 위한 정보인지 의문이다.
특히 교차로와 건널목 인근 나무와 전봇대에 매달려 있는 정치 현수막은 보행자와 운전자 시야를 방해해 안전사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만일 강풍과 비바람에 찢긴 현수막이 도로로 날아들면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정치 현수막은 비용과 자금력에 따라 후보자 노출 빈도가 달라져 이는 선거 공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소요 비용이 드는 만큼 정책 경쟁이 아닌 ‘얼굴 알리기 경쟁’이 펼쳐져 자칫 유권자의 냉소적 반응만 키울 수도 있다.
지금은 정치 현수막 게시라는 구시대적 홍보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때다.
대안으로 제도적 규제 강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행법을 보완해 일정 수량 이상 또는 특정 지역 내에 설치 제한 등 법적 기준 구체화와 단속 강화다.
디지털 홍보로 전환도 요구되고 있다.
SNS와 유튜브 등 이미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젊은 세대는 온라인을 통해 정치 정보를 소비해 환경 친화는 물론 효율적 비용 지출에 일조할 수 있다.
각 정당과 후보자별 일정 수량 현수막을 공공장소에 일괄 게시해 공정성 확보와 시민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 없는 단속 방식에서 벗어나 불편을 직접 신고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해 소통을 강화할 수 있다.
정치는 결국 시민과의 소통이 본질이고, 그 중심엔 공정성과 신뢰가 있어야 한다.
지나친 현수막 홍보는 정치 본질을 흐리고, 진정한 정책 경쟁으로 나아갈 수 없다.
현수막이 아닌 정책과 철학으로 승부를 거는 선거 문화가 정착돼야 진정한 시민 중심 정치가 실현될 수 있다.
정치인과 유권자는 물론 행정 당국도 더 나은 방향을 위해 고민해야 할 때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