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부식으로 천장 곳곳 구멍… 빗물 등 외부 요인으로 녹슴현상 심각

청주시가 천장 붕괴사고로 임시 휴장했던 청주실내수영장 정상운영을 다음 달 1일 예고했지만, 전체적인 추가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동양일보 취재 결과 드러났다.
동양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12일 이 수영장을 방문해 드론 촬영과 정밀 관찰을 통해 균열·누수 등을 점검한 결과, 천장과 실내수영장 외벽 등에서 균열과 누수·부식으로 인한 파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드론 촬영결과 수영장 지붕(철골조)에는 심각한 부식으로 곳곳에 구멍이 뚫려 있었고, 외벽은 녹슬어 너덜너덜해진 지붕재가 낙하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시는 수영장 로비 천장 마감재 낙하사고 후 정밀 점검을 거쳐 부식과 균열 된 마감재와 구조체를 보수했고, 부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습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기 시설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마감재 부식의 근원인 외부 요인을 점검하지 않고 문제가 된 로비 부분만 점검을 진행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빗물 등 외부에서 침투하는 요인을 예방하지 않는다면 천장 붕괴는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 이날 보수공사도 천장 전면을 점검하지 않고 무너진 로비 부분(교체)과 일부 방수작업만 진행하고 있었다.
청주지역의 한 건축사는 “사진을 보면 지붕이 심각하게 부식돼 곳곳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며 “빗물과 이슬 등 외부에서 습기가 지속 침투할 경우 수영장 중앙 부분의 천장 자재도 이 요인으로 인해 추가 붕괴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30년 이상 된 건물은 내부 보강 작업보다 외부 보강이 더욱 중요하다”며 “근본적인 원인을 해소하지 않고 내부만 보수한다면 안전사고는 되풀이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와 시설관리공단도 올해 수영장 전체 보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렸다. 이 수영장은 오는 21일부터 회원 접수를 재개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9월 1일 수영장 개장을 시급하게 준비하고 있다”며 “예산이 부족해 올해 전체 보수는 하지 못하고 내년에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건축 구조 전문가들은 시의 안일한 탁상행정이 자칫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시가 마감재 붕괴 원인으로 지목한 습기에 대한 문제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또 다른 건축사 A씨는 “습기가 가장 많이 차는 곳은 수영장 중앙이다. 그런데도 로비 천장이 먼저 무너진 것은 습도 문제가 아닌 마감재를 지탱하는 철 구조물의 수명이 다한 것”이라며 “녹슨 모습만 보고 판단하는 게 아니라 마감재를 지탱하고 있는 구조물에 대한 탄성 테스트 등의 전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부식으로 인해 천장이 뚫려 있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수영장 정 가운데 구조물이 붕괴해도 이상할 것이 하나 없다”며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안전진단을 진행하고 개장해도 늦지 않는다. 시민들의 안전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천장 마감재를 지탱하고 있는 구조물 촬영 사진을 보여주자 혀를 내둘렀다.
건축구조기술사 B씨는 “천장이 뚫려 물이 새고 있는 상황에 차단시설 없이 H빔 구조물이 빗물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며 “H빔을 연결하는 볼팅(볼트)이 부식되면 빔 자체는 힘없이 무너질 수 있다. 지금까지 버티고 있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고 말했다.
B씨는 “볼트 하나가 최고 1~2t의 힘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인 물량을 계산할 땐 볼트 하나의 문제로도 전체 빔 구조가 뒤틀릴 수 있다”며 “다중이용 시설인 만큼 안전을 위해 구조계산을 다시 해봐야 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 수영장은 앞선 6월 3일 오후 2시 29분께 수영장 1층 로비에서 천장 마감재 60㎡가 10m 아래 바닥으로 떨어졌다. 당시 수영장은 대통령선거로 휴장해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경찰 조사는 진행되고 있다. 천장 붕괴 사고와 관련해 시의 과실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무너진 자재 등을 보내 정밀 감정도 의뢰했다.
경찰은 시와 공단 측이 시설물의 안전·유지 관리에 관한 특별법 등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사실관계와 제출 자료 등을 파악하고 있는 초기 내사 단계"이라며 "자세한 수사내용은 말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승룡 기자 bbhh010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