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반대 민원 속 도의회 부결로 제동
사업계획 재상정·대체부지 모색 불발

충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한 ‘반값 아파트’ 사업이 사실상 물 건너갈 가능성이 커졌다.
애초 사업계획은 주민 반발로 좌초됐고, 대안 부지를 통한 사업 추진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20일 도에 따르면 저출생 대책의 하나로 청년들에게 저렴한 아파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었지만, 도의회의 제동에 이어 대체 사업부지 확보도 여의치 않자 민선 8기 내 추진은 어렵다는 내부 결론에 도달했다.
사업 시행자인 충북개발공사는 최근 내부 검토를 거쳐 ‘충북형 더클래식’(청년주택) 사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앞서 도는 도유지인 청주시 청원구 주중동 옛 도로관리사업소 부지에 신혼부부, 청년층, 다자녀 저소득 무주택자를 위한 공공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 계획을 마련해 시행 여부를 검토했다.
전용면적 59㎡의 4개동, 270가구를 건립해 6년간 선임대, 후분양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계획했다.
이를 통해 수도권과 같은 ‘반값’까지는 아니더라도 청주의 주변 아파트 시세보다 많게는 40%까지 가격을 낮춰 주거 부담을 줄인다는 복안이었다.
그런데 도의회 건설환경소방위원회는 지난 4월 임시회에서 사업 계획안을 부결하며 사업에 급제동이 걸렸다.
지방공기업평가원의 사업 타당성 검토에서 '다소 미흡' 평가를 받았고, 다른 공공지원 임대주택과의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업 시행 기관인 충북개발공사의 재정 부담 우려도 이어졌다.
개발공사는 주민과 의회를 설득해 연내 계획안을 재상정하거나 대체 부지를 찾는 ‘투트랙’ 해법을 모색했으나 어느 하나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했다.
최근 도시계획 변경으로 2200세대 규모 공동 주택과 대형 쇼핑센터 건립이 가능해진 청주 밀레니엄타운을 대안으로 검토하기도 했지만, 민선 8기 내 사업 추진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게 내부 판단이다.
여기에 재선 도전이 확실시되는 김영환 지사가 주민과 의회의 반대에 부담을 느껴 사업 추진 보류를 지시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이 사업을 주도해 온 진상화 개발공사장이 다음 달 퇴임을 앞둬 사업 추진 동력이 약해진 것도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청년층 주거 부담을 줄이고 인구 정착을 유도한다는 차원에서 반값 아파트 사업을 검토했지만, 단기간 내 추진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대신 중장기 계획으로 밀레니엄타운 부지를 포함한 대체 사업의 타당성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