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인구 1천명당 0.24명...세종 0.06명 전국 최하위
충북지역의 필수 의료 전문의 수가 수도권과 비교해 극심한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수행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충북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024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수도권 평균(1.86명)의 7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이번 조사는 내과를 비롯해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 필수과목 전문의를 기준으로 인구 대비 분포를 분석한 것이다.
전국적으로도 수도권 쏠림 현상은 뚜렷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은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가 3.02명, 경기는 2.42명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세종은 0.06명으로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지역별로 살펴 보면 △부산(0.81명) △대구(0.59명) △인천(0.55명) △경남(0.53명) △광주·경북(각 0.36명) △대전·전북(0.34명) △전남(0.29명) △강원(0.25명) △충북(0.24명) △울산(0.18명) △제주(0.12명) △세종(0.06명) 순이었다.
아울러 국내의 의사 인력은 이미 국제적으로도 부족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2022년 기준 인구 1000명당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2.6명으로 OECD 평균(3.8명)보다 크게 낮았으며, 한의사를 제외하면 약 2.1명으로 회원국 중 최저다.
반면 OECD 회원국 중 임상 의사 인력(인구수 대비)이 가장 많은 국가는 5.5명인 오스트리아였으며 이탈리아(5.3명), 노르웨이(4.9명)가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지방의 경우 높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정주 여건이 부족해 의사 유치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지역의 높은 의사 임금에도 불구하고 정주 여건 문제 등으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지속되면서 의료인력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필수의료 분야의 낮은 보상 수준, 높은 사고 위험 등으로 인해 공백도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필수의료 인력의 수도권 집중이 지속되면서 향후 분야별·지역별 의료인력 불균형이 더 심해질 것”이라며 “보상을 확대하는 등 불공정한 수가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민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