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디지털산업 규모가 1천261조원으로 전체 산업 매출액의 14.5%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디지털산업 실태조사'를 28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3년 기준 국내 디지털산업의 현황을 담았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디지털산업 매출액은 1천261조원으로 2022년 1천141조원 대비 10.5% 증가했다. 전체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14.5%로 2022년 13%보다 커졌다.

2023년 디지털산업 매출액은 제조업 매출액 2천422조원의 절반 규모를 넘어 52.1%에 해당해 전통적인 제조업 의존 구조에서 벗어나 디지털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과기정통부는 분석했다.

디지털산업 종사자 수는 202만 명으로 전체 산업 2천545만 명의 7.9%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ICT(정보통신기술) 산업으로 볼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산업의 매출액이 532조8천억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디지털 도소매업과 디지털 금융업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생산 및 공급 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된 디지털 관련 산업이 408조8천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디지털플랫폼 활용산업(187.4조 원)과 디지털플랫폼 제공산업(132.3조 원)이 각각 그 뒤를 따랐다.

기업들의 디지털 활용 수준은 업무에 컴퓨터를 단순히 도입한 단계가 35.5%, 전자문서·온라인 거래 등 디지털 방식을 업무에 활용하는 단계가 61.4%, 기업 경영과 생산과정 전반을 디지털 기술로 혁신하는 단계가 3.1%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과기정통부는 대부분 기업이 기본적인 디지털 활용에는 익숙하지만, 경영 전반을 혁신하는 '디지털 전환'까지 나아간 기업은 아직 드문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인프라 시스템 투자, 사업 및 예산 전략 수립, 웹·앱·EDI(전자문서교환) 조달 등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의사결정과 영업활동에 빅데이터 분석과 AI(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 방식에서도 디지털화가 확산해 디지털산업의 디지털 주문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 규모의 61.5%로, 비(非)디지털 주문(38.5%)보다 1.6배 높았다.

특히, 도소매·숙박·음식업 등을 포함한 디지털플랫폼 활용산업의 경우 디지털 주문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85.1%를 차지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디지털 기술 개발·도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 클라우드 컴퓨팅(35.4%), 빅데이터(24.3%), 인공지능(22.4%), AI 반도체(19.4%)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