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 국가상징구역 국제설계공모 착수
강주엽 행복청장 “국가상징구역을 세계적 랜드마크로 만들어 나갈 계획”

▲ 강주엽 행복청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건립되는‘행정중심복합도시 국가상징구역’의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윤여군 기자>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들어서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랜드마크‘국가상징구역’ 조성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관련기사 3면
28일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세종정부청사 중앙동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건립되는‘행정중심복합도시 국가상징구역’의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를 29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동(S-1생활권)에 위치한 국가상징구역은 6개의 생활권이 링(ring)모양의 환상형(環狀形) 구조를 이루고 있는 도시의 중심부 전월산과 원수산 자락 아래 위치하고 있다.
부지 앞으로 금강이 흐르고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지형이다.
국가상징구역은 여의도의 약 75% 규모인 약 210만㎡이며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 시민들을 위한 공간 등 3개의 공간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번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는 국가상징구역 조성의 첫 단계이다.
국가상징구역 전체에 대한 밑그림인 도시설계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공모 결과를 토대로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에 대한 건축설계 등 후속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공모의 주안점을 보면 우선 대통령 세종집무실은 이번 공모를 통해 국가상징구역 내 위치 및 부지형상, 주요 건축물 배치와 입면디자인 등 입체적 공간계획을 제안 받는다.
세종집무실은 정부세종청사와의 공간적 관계, 안보, 보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가상징구역 내 상대적으로 북쪽에 배치될 계획이다.
세종집무실이 수행하는 기능적 측면과 상징성 등을 고려해 부지와 공간계획을 제시하도록 할 계획이며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보공간을 확보하고 확장성을 고려한 구조를 제시하도록 했다.
국가상징구역 내 남쪽에 자리잡은 국회세종의사당 부지는 이번 공모를 통해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시민 공간 등 주변 시설·공간들과의 조화로운 경관을 이룰 수 있도록 도시설계안을 제안받을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향후 별도로 국회가 주관하여 국회세종의사당에 대한 건축설계공모를 직접 시행할 예정이다.
국가상징구역의 나머지 공간은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채워진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과 연계해 수평적이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조성된다.
우리나라의 역사와 정신, 정체성을 담은 공간으로서 문화, 교육, 휴식 시설 등을 배치하고 공원, 가로, 녹지 등 공공공간을 연계하여 시민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향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소로 조성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에 있는 국가상징구역은 최고의 행정과 입법기능, 시민공간이 한 장소에 집적된 우리나라에서 유례없는 공간으로 주변의 대통령기록관, 국립박물관단지, 국립수목원 등과 연계해 미국 민주주의의 중심이라 불리는 워싱턴D.C.의 내셔널 몰(National Mall)과 같은 국가적인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모 일정은 29일부터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구매규격 사전공개 후 내달 2일 본 공고가 시행되고 11월20일까지 작품 접수를 마친뒤 심사를 거쳐 올해 내 최종 당선작을 선정한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국가상징구역은 우리나라의 최고 행정, 입법 활동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공간이 될 것이며, 아울러 시민들의 평화롭고 행복한 삶이 함께하는 공간이 될 것이다”라며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공모는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어 나가는 그 첫걸음으로 각계 전문가들의 지혜와 국민들의 뜻을 모아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 윤여군 기자 yyg590@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