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청소년들의 마음 건강이 심각한 문제가 생겼음을 알리는 경고등이 각종 통계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만 스스로 생을 마감한 10대가 180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31일 통계청의 '분기별 고의적 자해 사망자 수' 자료에 따르면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19세 이하 청소년은 1분기(1∼3월)에는 79명, 2분기(4∼6월)에는 10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8명, 11명이 감소한 수치이긴 하지만 해당 연령대의 전체 인구를 고려하면 여전히 많은 수준이다.
전국 시·도교육청이 파악한 초·중·고등학생의 자살률은 꾸준히 높아지는 양상이다.
2020년 인구 10만명당 자살 학생 수는 2.77명이었으나 2021년에는 3.72명, 2022명 3.68명을 기록했다.
그러다 2023년 4.11명으로 4명대를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4.31명으로 치솟았다.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전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하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서도 10대들의 마음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해당 조사에서 '최근 1년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한 학생은 27.7%에 달했다.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2.7%였고, 자살을 구체적으로 계획한 사람은 4.8%였다.
여기에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한 학생도 2.8%나 됐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마음 건강을 지키고 자살·자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초등학교 1·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서·행동 특성검사가 대표적이다. 이 검사에서 관심군(자살 위험군 포함)으로 분류되면 전문상담교사에게서 심리 상담과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일선 교사들은 정서·행동 특성검사 시스템에 여러 허점이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실명으로 치러지는 검사의 문항이 너무 직접적이어서 자신의 상태를 숨기고 싶은 학생들에게는 효과적이지 않은 데다, 담임교사의 관찰 결과 실제로 자살 위험이 크다고 판단하더라도 치료에는 학부모의 동의가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문상담교사인 정유선 교사노조 정책국장은 "정서·행동 특성검사의 신뢰도와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은 10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며 "수정을 거듭하고는 있지만 학생들을 직접 만나는 심리상담 전문가 입장에선 여전히 고위험 학생을 거르기엔 부족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 국장은 "서울 소재 학교 중 전문상담교사가 있는 곳은 절반가량에 불과하다"며 "그러다 보니 학생이 상담·치료를 받도록 학부모들을 설득하는 사람이 학교마다 다르고 전문성도 상이하다"고 짚었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세 모녀 사건에서도 두 딸은 중·고등학생의 나이지만 홈스쿨링 중으로, 학교의 보호를 받지 못했다.
청주의 중등교사 이모(45) 씨는 "담임교사가 세심하게 관찰하면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아이를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고, 학군지의 경우 부모가 나서 아이를 정신과에 먼저 데려가 상담받게 하는 일이 많다"며 "가장 문제는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제대로 보호할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여러 문제점처럼 상담교사를 대폭 확대하고 정서행동 등 각 학교의 특성검사도 정비해야 할 것이다.
- 기자명 박승룡 기자
- 입력 2025.08.31 16:2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