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이범석·원희룡·이원석·윤희근 등 58명 증인 채택
10일 기관보고·15일 현장조사·23일 청문회·25일 결과보고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가 본격화됐다.
2일 충북도와 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전날 전체회의를 열어 국정조사 기관 보고 증인으로 김영환 충북도지사 등 58명을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채택했다.
이날 증인 명단에는 2년 전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당시 기관장들과 현직 기관장들이 다수 포함됐다.
주요 증인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한화진 전 환경부 장관, 방문규 전 국무조정실장, 이원석 전 검찰총장, 윤희근 전 경찰청장, 남화영 전 소방청장, 엄정희 전 대전지방국토관리청장, 이우종 전 충북도 행정부지사 등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현직으로는 윤호중 행안부 장관, 김성환 환경부 장관,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이범석 청주시장, 노만석 대검 검찰총장 직무대행, 김향연 청주지방검찰청장, 허석곤 소방청장이 포함됐다.
조완석 금호건설 대표이사와 신민철 일진건설산업 대표이사, 이현상 이산 대표이사 등도 포함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국민의힘 의원들은 일부 증인 채택에 문제를 제기하며 반대 표결을 해 총 출석 19명 중 찬성 13명, 반대 6명으로 가결됐다.
여당 간사인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오송지하차도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해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며 “전직 기관장까지 다 부르겠다는 것은 진상 규명의 이유보다는 정쟁화해서 그 사람들을 창피 주겠다는 것으로 우리 입장에서는 이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여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참사 벌어졌을 때 곧바로 국정조사를 통해 진실을 밝혔어야 했는데 그걸 못 밝히고 지금에서야 국정조사를 하다보니 기관 보고를 할 때 현직이 있고 전직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여야는 정기국회 개회식 이후 협의를 거쳐 오송참사 국정조사 운영일정(안)도 최종 확정했다.
오송참사 진상규명 TF 간사인 민주당 이연희(청주 흥덕) 국회의원은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의 승인으로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사임한 뒤 행정안전위원회로 보임됐다.
이로써 국회 행안위는 오는 10일 국회 본관 전체회의장에서 충북도와 청주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대검찰청 등 13개 기관 보고를 받는다.
이어 15일 현장 조사와 유가족 간담회를 실시하고 23일 청문회를 거쳐 25일 결과보고서를 채택할 계획이다.
국정조사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국회 본회의 투표를 통해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
조사범위는 오송참사의 직·간접적 원인과 책임소재 규명, 발생 전후 대응조치 전반, 책임 회피 의혹과 지원 대책 점검 등이다.
김 지사는 이날 열린 9월 직원조회에서 “2년여 시간 동안 수많은 조사가 있었고, 40여 명이 재판을 받고 있다”며 “많은 아픔과 고통이 있는 사고로 사실에 입각해 잘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