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건수가 278건, 피해 금액은 1억7000여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KT 무단 소액 결제 사고 관련 긴급 브리핑을 열고 피해 상황을 발표했다.
앞서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KT로부터 지난 8일 침해사고 신고 접수를 받고 관련 자료 보전을 요구했다.
정부는 사건 직후 KT와 더불어 SKT, LG유플러스에도 불법 기지국 존재 여부 점검을 요구, 양사는 이상이 없다고 보고했다.
통신 3사는 신규 초소형 기지국 망 접속을 전면 제한, 이상 트래픽 정보를 공유해 추가 피해 차단에 총력을 기울였다.
류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통신 3사 모두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전면 제한하고 있다"며 "KT가 파악한 불법 기지국에서의 이상 트래픽 정보를 다른 통신사들에 점검용으로 공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등록 기지국이 어떻게 통신망에 점속하고 어떤 방식으로 소액 결제가 이뤄졌는지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며 "불법 기지국 외 다른 침해 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빠른 조치에 나설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류 차관은 특히 "정부는 지난 4월 SKT 사이버 침해 사고에 이어 국가 배후 조직의 해킹 정황,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와 같은 사건이 연이어 발생한 상황을 엄중히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KT는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결제한도를 낮추고 비정상적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했다.
SKT는 이날 소액결제 한도를 선제적으로 하향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지만, 당분간 기존 한도를 유지키로 했다.
LG유플러스도 아직까지 소액결제 한도 하향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용자 정보 유출 의혹을 받아온 KT와 LG유플러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KT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다수 발생해 개인정보 유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미국 보안 전문지(Phrack)를 통해 KT와 LG유플러스에 대한 해킹 정황이 공개된 바 있다"며 조사 착수 배경을 전했다.
개인정보위 조사 착수에 대해 KT 관계자는 "공식 입장이 없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현재 진행 중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 조사에 협력 중으로, 개인정보위 조사에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했다. 홍승태 기자 hongst1125@dynews.co.kr
- 기자명 홍승태 기자
- 입력 2025.09.10 16:53
- 수정 2025.09.11 09:03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