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지자체 생산연령인구 35% 감소...충남 북부·세종·대전은 유지·증가세
앞으로 20년 안에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도 없는 지자체가 15곳에 달할 것이라는 암울한 예상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 미만인 시·군·구는 없지만, 2032년 1곳으로 늘어나고 2042년에는 15곳(전체의 6.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경제활동인구 10만명 이상~20만명 미만 시·군·구는 2022년 기준 64곳이었으나, 2042년에는 41곳까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1만명 이상~3만명 미만은 같은 기간 49곳에서 69곳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적으로는 2042년에 198곳에서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고, 105곳은 30% 이상, 31곳은 50% 이상 급감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향후 10년간 경북과 경남 북부 지역의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전남과 전북에서도 큰 폭 감소가 예상됐다.
오는 20년 후 2042년엔 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대부분 시·군·구에서 생산연령인구가 35% 이상 줄어들게 된다.
반면 수도권 등 서울 인근 지역, 충남 북부 일부 지역에서는 생산연령인구가 유지되거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실례로 김포, 하남, 화성, 세종, 대전 일부 등 9개 시·군·구는 2042년에 생산연령인구가 유지되거나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고서는 이러한 지역별 인구 불균형이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과 장년층의 중소도시 이동이라는 이중적인 인구 이동 경향에서 비롯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청년층이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교육·문화 인프라와 일자리가 갖춰진 지역거점도시를 육성하고, 장년층의 중소도시 이동을 장려하는 경제적 유인책과 복지·의료 서비스를 강화할 것을 제언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저자들은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을 완화하고 보충적으로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지역 간 노동 인구 불균형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며 "수준 높은 교육·문화 인프라와 양질의 일자리가 갖춰진 지역 거점도시를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창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