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로 서울 유학 포기 집 근처로
충북대 10.91대1···충청권 5곳 10위권

올해 대입 수시 모집에서 충북대 등 지방대를 지원한 수험생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며 지방권에 거주하는 수험생들이 서울이나 수도권 대학보다는 지역 소재 대학을 선호한 결과로 분석된다.
21일 종로학원이 전국 192개 대학의 2026학년도 수시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방권 소재 대학 지원자 수는 모두 10만4272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10.2% 늘었다.
대구·경북권이 12.4%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강원권(11.7%), 충청권(10.6%), 전라권(9.8%), 부산·울산·경남(8.0%), 제주(7.8%) 순이다.
지방권 소재 대학 110곳 중 지원자 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곳은 16곳뿐으로 나머지는 모두 증가했다.
반면 서울권은 42개 대학 중 20개 대학이, 경인권은 40개 대학 중 17개 대학이 지원자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경기 침체로 지방권 학생들이 무리하게 서울이나 경인권 소재 대학에 지원하는 것을 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의대 정원 축소, 사탐런 등으로 입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안정 지원 추세까지 맞물리며 지방대 수시 지원자가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수시 모집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았던 지방권 대학은 경북대였다.
전년 12.91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경북대는 올해 수시에선 14.5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단국대 천안캠퍼스(11.11대 1), 충북대(10.91대 1), 건국대 충주 글로컬캠퍼스(10.59대 1), 연세대 미래캠퍼스(10.48대 1), 부산대(10.13대 1)가 뒤를 이었다.
천안 상명대(9.35대1), 대전 우송대(9.10대1)는 각각 8번째와 10번째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체 대학 중 최고 수시 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성균관대로 평균 32.49대 1이었다.
전국 대학 가운데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자연계에선 아주대 약학과 논술우수자 전형(708.20대 1)이었고, 인문계에선 국민대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논술전형(321.6대 1)이었다.
임 대표는 “앞으로는 지방대 육성 정책, 경기 상황, 지방권 대학의 취업 환경에 따라 입시 지형이 달라질 수 있다”며 “동시에 서울·경인권 대학 중에서도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