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환경장관회의가 27∼28일 중국 산둥성 옌타이에서 열린다.

이 회의는 1999년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출범해 매년 3국이 교대로 개최해온 동북아 대표 환경협력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 아사오 게이이치로 일본 환경성 장관 등 3개국 환경부 장관들은 이번 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 플라스틱 오염 저감 등 동북아의 주요 환경 현안을 논의하고, 기후위기 정책대화 등을 포함해 2026∼2030년 추진할 '제4차 공동행동계획'을 채택할 예정이다.

제4차 공동행동계획에서는 기존 8개 협력 분야가 환경질 개선, 무탄소 녹색성장, 환경복지 등 3대 목표로 재구성되고, 기후위기 정책대화와 탄소표지(라벨링) 협력 강화, 플라스틱 오염 대응, 생활환경 개선 등이 새롭게 포함될 예정이다.

3개국 환경장관회의에 앞서 26일에는 3국 정부 관계자들과 산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제10회 한·중·일 환경산업 원탁회의(TREB10)'가 열린다.

참석자들은 3국의 기후위기 대응, 녹색전환, 탄소중립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 녹색금융 ▲ 순환경제 ▲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정책 및 실천 사례 ▲ 환경기술 국제협력 등 4개 세부 의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진다.

3개국 청년대표 15명이 참여한 청년포럼에서는 '기후회복력 있는 지역사회를 향한 청년 역량강화'를 주제로 토론한다.

회의 기간에 맞춰 우리나라 환경부와 중국 산둥성 간 환경협력 2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도 열린다.

이번 행사에서 양측은 지난 20년간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산업 교류 등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환경 실무협력, 대기오염 방지, 탄소제로 섬 조성, 국제환경협약 이행 경험 공유 등의 내용이 포함된 한중 환경협력 20주년 기념 양해각서(MOU)도 체결한다.

김 장관은 산둥성의 대표 청정에너지 사업인 완화화학-허하이 종합 스마트에너지 신규사업 현장을 방문해 탄소중립 분야 협력 방안도 모색한다.

김 장관은 "환경부-산둥성 환경협력 20주년을 계기로 기후위기 대응, 녹색산업 협력,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 등 탈탄소 녹색 문명 발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협력을 더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