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학교장·교원단체 등과 개선 방안 모색

▲ 윤건영(오른쪽 두 번째) 충북교육감이 지난 26일 충북교원단체 대표들과 고교학점제 운영의 실질적인 해결방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하고 있다.<충북교육청 제공>

충북도교육청이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지원 등을 위한 교원 증원 방침에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교육부는 지난 25일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전국 시·도부교육감회의에서 신규 중등교원을 전년보다 1600여명을 늘리기로 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고교학점제 운영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충북교육청은 지난 26일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후 한 학기를 보내며 현장 의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앞서 윤 교육감은 학교 현장에서 고교학점제 운영의 어려운 점과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일선 현장 교사들과 대화를 나눠왔고, 시·도교육감협의회 등을 통해 개선 의지를 분명히 해 왔다.
지난 24일, 26일 일반계고 학교장, 충북교원단체 대표 등과 소통의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다과목 지도에 따른 업무 증가’, ‘학점이수 인정 기준’, ‘평가·대입제도’ 등 다양한 고교학점제의 현안에 대해 소통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고교학점제 운영 개선 대책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윤 교육감은 그동안 지속적 교육부에 건의해왔던 교원 정원 확대가 이뤄진 것에 환영을 표했다.
윤 교육감은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해선 이번 교원 정원 확대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 이어져야 한다”며 “지속적인 교원 정원 확대를 위한 정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등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보다는 초·중학교 단계부터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초학력 보장지도를 강화하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내신성적 유불리에 따라 학생들의 과목을 선택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꼬집으며, 고교학점제 취지에 따른 진로·적성에 맞는 실질적인 과목 선택권 확보지원을 위해 진로·융합 선택과목에 절대평가 도입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윤 교육감은 “고교학점제를 개선·보완하기 위해 앞으로도 지소적인 모니터링 현장과의 소통으로 고교학점제의 취지에 맞게 학생 한 명 한 명이 바라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