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농기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15.4~16.8도)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2.6~22.5㎜)보다 많겠음
■ 벼
△ 적기 수확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 출수 후 조생종 45~50일,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55~60일
△ 건조 및 저장
일반용 45도, 종자용 40도 이하에서 건조 /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도, 상대습도 70~80% 유지
△ 땅심 높이기 : 볏짚 3~4등분 절단 10a당 400~600㎏ 시용, 깊이갈이 실시
■ 밭작물
△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 / 콤바인 수확은 수분함량 18~20%일 때 실시
△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도,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 본 저장은 3~4도, 습도 80~85%에서 보관
△ 고구마
10월 상중순까지 수확, 아물이(큐어링) 처리
△ 보리·밀
월동 전 본잎 5~6매 확보, 파종 전 종자소독
△ 유채
남부지역 10월 상순, 제주도 10월 중순 파종 적기
■ 채소
△ 가을 배추·무
결구 시작된 포장은 10a당 하루 200리터 인공 관수
△ 마늘·양파
파종·아주심기 후 비닐피복으로 지온 높이고 토양수분 관리
△ 시설채소
보온 준비, 10월~11월 상순 외부 매개충 유입 집중 관리
△ 딸기
아주심기 후 1개월 뒤 보온, 야간온도 12~15도 유지
■ 과수
△ 수확
상처 나지 않게 온도가 낮을 때, 비 그친 후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눠 수확
△ 가을거름
쇠약해진 나무 수세 회복·저장양분 축적으로 이듬해 생육 촉진
■ 화훼
△ 국화 관리요령
로제트 현상 방지를 위해 조생종은 5도 이하에서 15일, 만생종은 4주 이상 저온 처리
■ 특작
△ 인삼
10월 중순~11월 상순 사이 표준이랑 규격·방향 맞춰 조성
△ 약용작물
더덕은 10월 중순 이후 수확(30~50g 이상), 둥굴레 종근 파종은 10월 상순~11월 상순 적기
△ 느타리버섯
생육기 습도 75~85% 유지, 온·습도 관리 철저
■ 축산
△ 겨울 사료작물
지역별 최저기온 고려한 적정 품종·파종 시기 선택
△ 환절기 축사 관리
일교차 대비 방풍·보온 철저, 면역력 저하 가축 관리
△ AI·구제역·ASF
농장·근로자 소독 생활화, 울타리 등 차단 방역 철저
■ 양봉
△ 월동준비
월동 먹이 공급·합봉 등으로 안전 월동 준비
△ 병해충 관리
말벌 피해 최고조 시기, 적극 방제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