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삼석 의원 “농어촌 집중돼 범죄우려와 지역경제 위축”

'빈집' 절반 이상이 농어촌 지역에 집중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북·충남·세종 등 충청권 농촌지역의 빈집이 1만352호에 달해 지역소멸 현상 가속화가 우려된다.
1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빈집 현황 플랫폼 '빈집애'에 등록된 빈집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전국 빈집 13만4007호 가운데 8만260호가 농어촌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59.8% 수준이다.
빈집 수를 광역단체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1만6383호로 가장 많았고 △경남 1만2980호 △경북 1만2706호 △전북 1만2660호 △충남 5590호 △강원 4886호 △충북 4074호 △경기 3538호 △부산 3175호 △대구 1126호 △인천 851호 △제주 807호 △울산 796호 △세종 688호 순으로 집계됐다.
더욱이 농촌 빈집이 어촌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농촌과 어촌으로 나누면 빈집 수는 각각 농촌 5만4093호, 어촌 2만6167호다. 농촌 빈집 5만4093호 가운데 1만 793호는 경북에, 어촌 빈집 2만 6167호 가운데 8551호는 전남에 몰렸다.
서삼석 의원은 "저출산과 고령화를 비롯한 인구 유출로 전국적으로 빈집은 농어촌에 집중돼 있다"며 "특히 어가 인구가 농가 인구의 4% 수준에 불과함에도 어촌 빈집 수는 농촌의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어촌 소멸 가속화에 따른 수산업 위기가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빈집을 장기 방치할 경우 범죄∙붕괴 등 안전 문제를 비롯한 지역경제를 위축시킬 수 있음에 따라 도시∙농어촌 특색에 맞는 빈집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승태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