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은 중원미술가협회장

문형은 중원미술가협회장
문형은 중원미술가협회장

부자들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얻어 기회로 만들 줄 안다.
그렇게 ‘독심술’을 발휘한 후 지혜롭게 행동하느냐, 안일하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청부(淸富)’와 ‘졸부(猝富)’로 나뉠 뿐이다.
누가 더 오래 가는지는 굳이 여기저기 묻지 않아도 이미 알고 있다.
전통경제학은 오랫동안 착한 부자의 행동에 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인간이 이윤을 추구하는 동기는 오직 이기심 때문이라고 가정하고 많은 상황에서 이익 극대화만을 전재로 내걸었다.
학창시절 경제와 수학 수업을 듣지 않았더라도 ‘모든 조건이 같다고 전재하면’이라는 수식에 따르는 표현을 들은 사람이 꽤 있을 것이다.
상당수는 그 아이디어가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을 쓴 아담 스미스(Adam smith)로부터 출발한 것이라 알고 있다.
돈에 대해 이야기 한 고전 집필자 가운데 가장 유명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아담 스미스가 ‘국부론’에 담긴 문장은 오늘날에도 유명한 역사로 남아있다.
우리가 빵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빵집 주인의 ‘자비심’이 아니라 ‘이기심’ 때문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이익과 이기심은 다르다.
아담 스미스 본인은 한국인들의 오독을 정말 억울해할지도 모른다.
‘국부론’에서 말한 것은 ‘자기이익(Self interest)’이지 ‘이기심(selfishness)’이 아니기 때문이다.
원문 어디에도 이기심이라는 말이 등장하지 않음에도, 한국 사람들은 스미스를 꽤 냉혈한 이기주의자 정도로 받아들였다.
그 결과 스미스 이론은 가열차게 경쟁하는 세상을 정당화하는 논리, 지속하는 불평등과 지대 추구를 긍정하는 논리로 잘못 쓰여 왔다.
원래 스미스는 경제인도 아니었고, 대학에서 경제학으로 학위를 받은 연구자는 더더욱 아니었다.
인간이 왜 부를 추구하고 그를 통해 사회가 성장하는가에 관해 관심을 가진 철학자였을 뿐이다.
그렇다면 자기 이익과 이기심은 어떻게 다른가.
한 경제학자에 따르면 기부와 사회봉사, 남을 향한 배려와 같은 이타적 행동은 충분히 당사자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그 일을 통해 스스로는 행복감을 얻고 사람들로부터는 평판이 좋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라는 의식 속에서 에너지를 얻어 더욱 다양한 기회와 성장을 추구하는 것 또한 이타적 행위로 인한 자기 이익이다.
반면 이기심은 모든 행위를 칼갈이 이익과 비용으로만 따지는 심리다.
‘장기적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는 판단은 이기심의 발로가 아니라 이타성 인식의 전략적 측면에 가깝다.
이기심과 자기 이익을 혼동하게 되면 자칫하다가 전 국민이 팥쥐나 신데렐라 엄마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스미스는 그 옛날에도 ‘공감(sympathy) 또는 도덕 감정(moral sentiment)의 기능을 강조했다.
인간은 남의 마음을 읽고, 내 마음의 상태가 어떤지 들여다볼 수 있는 인식 수준을 갖춘 고등 동물이다.
스미스가 쓴 ‘도덕 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에는 기가 막힌 이야기가 있다.
도무지 스미스가 ‘보수 우파’라고만 읽히기 힘든 내용이다.
그는 부자는 생산물 중 가장 값지고 좋은 것을 ‘선택’할 뿐, 모든 성과는 빈자와 나눈다라고 했다.
부자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에 따라 토지가 모두에게 동일하게 분배되는 것과 유사하게 생필품을 분배한다고도 했다.
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사회의 이익을 증가시키고 인류 번식을 돕는 존재인 것이다.
중·고등학교 시절 사회 교과서에서 익숙하게 보았던 ‘보이지 않는 손’은 무작정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 메커니즘이 아니라 부를 자연스럽게 배분하는 사회구조를 뜻했다.
아담 스미스가 주장한 시장 중심 철학이 새롭게 다가온다.
필자가 거주하는 한반도 중심도시 충주는 지역 문화관광 분야를 총망라해 운영 중인 충주문화관광재단이 있다.
재단은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 사업의 하나로 ‘스미스’의 가치론과 경제 논리를 기반으로 지원해 선 순환적으로 시민과 함께 문화적 안락을 누려야 한다.
시립우륵국악단과 협업을 통해 청소년 국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국립국악원 충주분원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면 국악의 세계화에 이바지할 것이다.
문화관광예술을 통하여….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