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산학연 연계…양자클러스터 중심도시 도약
대전시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국내 최대 규모의 '개방형 양자공정 기반 시설(개방형 양자팹)'을 구축한다.
23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이장우 대전시장과 이광형 KAIST 총장은 이날 대전 유성구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 사업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5월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 주관 기관으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장비 구축을 포함하고 있다. 2031년까지 국비 234억원, 시비 200억원, KAIST 17억원 등 총 451억원을 투입한다. 시설은 KAIST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500㎡ 규모로 짓는다. 2027년 준공 이후에는 KAIST가 운영한다.
시와 KAIST는 이곳에 양자 공정에 필요한 필수 장비를 갖추는 등 수준 높은 공정 환경을 갖추고, 이용자 중심 개방형 운영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연구자와 기업은 개방형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한 뒤 이곳에서 무료 교육을 받고,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총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의 경쟁력 기반을 다지겠다"고 했고, 이 시장은 "KAIST와 긴밀히 협력해 지역 산·학·연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했다. 정래수 기자 raesu1971@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