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kV 신평창–신원주 송전선로 불합리한 노선 즉시 제외 촉구
속보=제천시 송전선로 반대 범시민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창준 의림지동통장협의회장) 4개 읍·면·동 주민들은 23일 ‘345kV 신평창–신원주 송전선로 건설사업’ 반대입장을 밝혔다. ▶22일 8면.
이날 송학면·봉양읍·백운면·의림지동 주민 등 30여명은 제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천지역이 최적 경과대역에 포함돼서는 안 된다”며 한목소리를 냈다.
이들 주민들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345kV 신평창–신원주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최적 경과대역에 제천시 일부 지역이 포함된 것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며 오는 10월 29일 입지선정위원회에서 제천 노선이 제외될 것을 촉구했다.
또 제천 권역에 이미 송전선로와 송전탑이 설치돼 주민들이 전자파와 소음, 재산가치 하락 등으로 수십 년째 고통받고 있다며 추가적인 송전선로 건설은 주민의 생존권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주민들은 이번 사업의 주목적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공급을 위한 것으로 제천은 아무런 이익도 없고 오히려 피해만 입게 된다고 강조했다.
또 평창에서 원주로 직선으로 송전선을 연결하면 공사비 절감과 피해 최소화가 가능함에도 제천을 우회하려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주민들은 “제천이 최적 경과대역에 포함된 것을 결코 수용할 수 없으며 오는 29일 입지선정위원회를 강행한다면 우리는 결사반대 운동을 전개하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엄태영(제천‧단양) 의원도 지난 22일 345kV 신평창-신원주 송전선로의 제천경유를 추진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와 긴급 간담회를 갖고 사업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엄 의원은 “한전은 관련 법규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했다고 주장하지만 애초부터 ‘선로 통과지’에 제천시를 일방적으로 포함시키고 절차는 끼워 맞춰 넣은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비선호시설인 송전선 건설은 해당 지역 주민들이 제일 먼저 알아야 하고 관련 규정에도 공청회나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할 수 있지만 한전은 주민설명회조차 한 차례도 없었다”고 꼬집었다.
엄 의원은 한전 측에 “지금처럼 ‘깜깜이 밀실행정’으로 독단적으로 추진할 것이 아니라 어렵더라도 주민들을 대상으로 끈질긴 설득으로 이해를 구하는 절차를 거쳐야 할 것”이라며 “향후 ‘제천경유’ 노선 강행 시 결사 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전이 이날 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제천경유를 결정한 지역출신 입지선정위원 25명 중 충북 출신은 단 5명에 불과해 경과지역 결정에 불리한 구조였다.
그 결과 당초 사업대상 지역에 빠져있던 ‘제천시 모산동’이 최적 경과 대역에 추가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엄 의원은 성명을 통해 “제천은 그동안 대형 국가사업에서 너무도 많은 희생을 강요당한 대표적인 지역”으로 “신평창-신원주 송전선은 영서권과 용인반도체클러스틀 위한 전력 인프라로 제천시와는 아무런 연관도 없음에도 추가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국가폭력이 아닐 수 없다”고 성토했다.
이어 “만약 한전이 지금처럼 주민동의 없이 송전선로 건설을 강행한다면 국회의원이 가진 모든 권한과 책임을 동원해 주민과 함께 맞서 싸우겠다”고 강조하고 “독단적으로 이뤄지는 입지선정 방식을 뜯어고치는 법‧제도 개선에 즉각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최적 경과대역에 포함된 일부 주민들은 오는 29일 열리는 후보경과지 선정회의에 이미 제천경유가 포함된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모산동 주민 A(66)씨는 “후보경과지 선정회의가 29일로 코 앞인데 반대 추진위의 목소리로는 부족하다”며 “범시민 차원의 대대적인 반대추진위를 구성해 고압 송전선로 제천경유를 결사반대하고 사업철회를 위한 투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제천 장승주 기자 ppm6455@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