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상징구역 기본 구상과 향후 발전 방향 논의

▲ 28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열린‘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행복청 제공>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은 28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강준현․김종민․박수현․황운하 국회의원실과 공동으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를 열고 국가상징구역의 기본 구상과 향후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국가상징구역이 어떤 국가적 가치와 철학을 담아낼 것인가를 주제로 열렸다.
아울러, 지난 9월2일부터 진행 중인 ‘행정중심복합도시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는 후속 단계이기도 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부 S-1생활권 약 210만㎡ 부지에 조성되는 세종 국가상징구역은 행정과 입법, 시민을 위한 개방형 공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질 예정이다.
행복청은 이번 국제공모를 통해 국가상징구역의 도시계획 및 공간 구조, 주요 건축물 배치, 상징 경관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하는 한편, 국민참여 심사제를 도입해 국민이 직접 공간 조성 과정에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했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토론회는 국가상징구역 조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지혜를 모아 대한민국의 시대정신과 국민의 기대, 미래 세대를 위한 비전을 담아낼 수 있는 뜻깊은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1부 발제에서 황재훈 충북대 교수는 ‘국가상징구역의 가치와 비전’을 주제로,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을 국민 소통의 중심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임석재 이화여대 교수는 ‘대한민국의 정체성, 역사 공공성으로 정의하기’를 주제로 국가를 상징하는 건축이 갖춰야 할 핵심 개념을 제시했다.
이어진 2부에서는 발제자 외에도 김도년(성균관대, 도시), 송하엽(중앙대, 건축), 우동선(한국건축역사학회, 역사), 박윤진(오피스박김, 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심층 토론을 이어갔다.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는 오는 11월20일까지 작품을 접수 받아 국민 참여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12월 중순 당선작을 발표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