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농기원

■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8.4~10.0도)과 비슷하거나 높겠고, 강수량은 평년(2.9~10.1㎜)과 비슷하거나 많겠음.
■ 벼
△건조·저장 일반용은 45도, 종자용은 40도 이하에서 건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도, 상대습도 70~80% 유지.
△토양검정 수확 직후 토양을 채취해 농업기술센터에서 시비처방서 발급.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세척·윤활 등 관리 실시.
■ 밭작물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 이하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도 이하·상대습도 60% 내외 유지.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도·습도 80~85%에서 1주일 실시, 본저장은 온도 3~4도·습도 80~85%에서 보관.
△유채 건조한 토양에는 관수하고, 유묘기에는 솎음작업 또는 보식 실시.
■ 채소
△가을배추·무 생육 부진 시 요소 0.2%액 살포, 결구상태와 시세에 따라 출하.
△마늘·양파 한지형 마늘은 11월 중순~12월 중순 땅이 얼기 전 비닐 덮음.
△시설채소 흰가루병·총채벌레·가루이·작은뿌리파리 등 발생 초기 방제.
△딸기 야간온도 5℃ 이상 유지, 개화기 잎 5~6매 확보, 개화초기 수정벌 투입.
■ 과수
△수확 생과 출하용은 과정부 6, 과저부 5 / 저장용은 과정부 5, 과저부 4일 때 수확(색도계 활용).
△예건 수확 후 3~5일 정도 상온 저장으로 과피 수분 건조.
△예냉 수확 후 20일 정도 0도 저온처리로 품온 하강.
△저장 입고 전 저장고 온도 0도, 습도 90%, 저장고 부피의 70~80%까지만 적재.
■ 화훼
△장미 시설 내 온도 관리를 위해 난방 시작, 밤 온도 15~18도로 관리.
△일교차 커질 경우 온실 내 습도 상승 우려 있어 습도관리 유의.
■ 특작
△인삼 노동력 분산을 위해 파종 직후 해가림 시설을 설치하고, 다음 해 봄철 발아기에 피복물 설치.
△약용작물 구릿대는 중북부지역은 가을파종이 좋고, 우슬·고본은 잎이 누렇게 변할 때 뿌리가 상하지 않게 수확.
■ 축산
△한우사양 4가지 현대사양기술(질적생산·기능성식품·기계화·친환경자원순환) 중점 추진.
△양돈사양 번식능력, 강건성, 고기 생산능력 중심으로 수퇘지·암퇘지 선발.
△환절기 관리 한우는 송아지 초유섭취 유도, 양돈은 밀집사육 주의, 계사는 일정온도·적정습도 유지.
※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기간 2025년 10월~2026년 2월.
의심축 발생 시 신고(☎1588-9060, ☎1588-4060).
■ 양봉
△월동준비 일벌 수에 맞춰 월동 벌집 매수 축소, 월동 먹이 공급 종료.
벌집 보온·배치·합봉 등 월동준비 철저, 빈 벌집 보관.
△병해충관리 월동 전 응애류 최종 방제 실시.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