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 오창에 본사를 둔 에코프로가 고전압 미드니켈(HVM)을 개발해 최근 기술 검증을 마무리하고 라인 구축에 나섰다고 28일 밝혔다.
미드니켈 양극재(니켈 함량 60%)는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하이니켈(90% 이상)보다 니켈 함량이 낮다.
에코프로가 개발한 HVM은 단결정으로 고전압 성능을 확보하고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했다.
특히 기존 미드니켈 배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저온 성능까지 개선해 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 성능 발휘가 기대된다.
프리미엄 전기차 모델에서 차별화된 하이니켈 기술로 시장을 선도해온 에코프로는 HVM을 활용해 중저가 모델에서도 시장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앞서 에코프로는 글로벌 자동차 OEM 및 셀 업체들과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며 2027년 본격 양산을 위해 라인 개조에 착수했다.
에코프로는 미드니켈 생산 기지를 우선 포항에 구축, 향후 헝가리 양극재 라인에도 적용해 유럽 OEM을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헝가리 공장은 총 면적 44만㎡ 부지에 3개 라인 기준 연 5만4000t 생산 캐파(CAPA)를 갖췄다. 시장이 확대되면 비슷한 규모 3개 라인을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공보현 에코프로비엠 개발담당 상무는 "자체 개발한 단결정 양극재 기술을 미드니켈 소재에 적용해 높은 전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줄여 성능을 개선시켰다"며 "단결정은 양극재 입자가 하나의 연속된 결정구조로 이뤄진 소재로 충·방전이 반복되더라도 구조가 깨지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홍승태 기자 hongst1125@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