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회, 상가 공실의 다각적 해법 찾기 위한 연구모임 최종보고회
세종시의 상가 공실 해결 방안으로 신기술 창업과 문화생태계 활성화가 제시됐다.
세종시의회‘상가 공실의 다각적 해법 찾기 위한 연구모임’(대표의원 김효숙)은 지난 29일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신도시 조성 과정에서 상업용지의 과잉 공급 △행정타운 중심의 인구 불균형 △지구단위계획 내의 업종 제한 등이 세종시 상가 공실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아울러 상가 공실 해결을 위한 논의 결과, △나성동 디지털 콘텐츠 창업 특구 조성 △대평·어진동 문화예술 창업 특구 조성 △세종형 캡슐호텔 시설 조성 등이 최종보고서에 구체적 실행 계획에 담겼다.
특히 공실문제가 심각한 나성동에 ‘세종형 신기술 창업기업’을 유치하고 대평동과 어진동 일대를 소규모 문화 콘텐츠 창업 모델 공간으로 활용해 지역의 문화생태계를 조성하는 안도 논의됐다.
이순열 의원은 “세종형 캡슐호텔 조성안은 세종시의 부족한 숙박시설 수요를 해소하고 나아가 상가 공실까지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어진동과 대평동이 문화예술 창업 특구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역의 특성과 어우러져 최선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실행안을 찾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효숙 대표의원은 “이번 보고회에서 논의된 다양한 방안들은 상가 공실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조례 제·개정, 예산 반영 등의 방법으로 구체화할 것”이며 “정책이 구상이 아닌 실행 단계까지 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업하는 것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세종 윤여군 기자 yyg590@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