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정산·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 등 무용지물

 

 

▲ 청주시먹자길(우암먹자골목)에 설치된 스마트가로등의 광고 모니터가 작동하지 않고 있다. 사진 오동연 기자
스마트가로등에 달려있는 폐쇄회로티비 일부가 파손된 채 방치되고 있다. 사진 오동연 기자
스마트가로등에 달려있는 폐쇄회로티비 일부가 파손된 채 방치되고 있다. 사진 오동연 기자
13대의 스마트가로등에 탑재된 무선충전 기능을 이용하려고 스마트폰을 올려놓아도 충전이 되지 않았다. 사진 오동연 기자
13대의 스마트가로등에 탑재된 무선충전 기능을 이용하려고 스마트폰을 올려놓아도 충전이 되지 않았다. 사진 오동연 기자
스마트가로등의 무인주차정산 기기는 오래 사용되지 않아 거미줄이 무성하다. 사진 오동연 기자
스마트가로등의 무인주차정산 기기는 오래 사용되지 않아 거미줄이 무성하다. 사진 오동연 기자
청주 먹자길에 설치된 스마트가로등(스마트폴)의 모습. 사진 오동연 기자
청주 먹자길에 설치된 스마트가로등(스마트폴)의 모습. 사진 오동연 기자

청주시가 수 억원의 예산을 들여 설치한 스마트가로등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혈세낭비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스마트가로등(스마트폴)은 가로등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인터넷(와이파이), 휴대전화 무선충전, 광고모니터, 무인주차정산기, 폐쇠회로티비 등 여러 기능이 통합된 시설이다.
9일 동양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청주시먹자길(우암먹자골목) 일대에 설치된 스마트가로등은 2020년 국토교통부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스마트기술사업’ 공모에 선정, 2022년 국·도비 지원으로 대당 4000만원 씩 모두 13대(5억2000여만원)를 설치했다.
스마트가로등은 250만원 내외의 설치비용이 들어가는 일반가로등에 비해 무려 16배나 비용이 드는 셈이다.
먹자길 스마트가로등은 휴대전화 무선충전, 광고 모니터, 무인주차정산기 등 대부분의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였다. 또 전기차나 자전거, 전동킥보드, 휴대폰 등을 유선 충전할 수 있는 방수형 콘센트 역시 일부에서만 사용 가능했다.
회사원 이모(40·서원구)씨는 “스마트가로등이라고 해서 기대를 하고 주차정산을 하려 했는데 오랜 시간 방치돼 있었는지 거미줄만 있고 콜 버튼을 눌렀지만 이마저도 연결되지 않았다”며 “모니터도 들어오지 않고, 휴대폰 충전도 안 되는데 왜 스마트가로등이라고 불리는지 모르겠다”고 비난했다.
인근 상인 A씨는 “킥보드나 전기차 충전을 하는 사람들이 있어 전기료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어 콘센트를 사용하지 못하게 꺼놓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무인주차정산 기능도 먹통이다 보니 장기주차차량도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스마트가로등이 넒은 간격으로 세워져 있어 어두운 거리를 밝히기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며 “이럴거면 차라리 일반가로등을 더 많이 설치하는 편이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스마트가로등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는 지난해 청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미 지적됐다.
신민수 청주시의원은 “2023년 스마트가로등 점검내역서를 보면 12개 항목을 점검했는데 제대로 된 기계가 하나도 없었다. 12개 항목 중 절반 이상 다 작동이 안 되고 있고 정상화하려면 4800만원이 들어가는 견적서가 있었다”며 “새로운 시설을 도입하는 것 자체는 좋으나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검토와 시민들이 실제로 이용할 만한지 시에서 충분히 고민했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시는 먹자길 스마트가로등 수리와 관리를 위해 5000만원의 예산을 세워 2024년 12월께 단 한 차례 수리했다. 전기료와 통신비 등은 2022년 7월 준공 이후 매월 100만~200만원씩 1년여간 지출됐고 현재는 매월 120만원씩 지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행감과 언론의 지적이 있었음에도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스마트가로등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설치업체 관계자는 “국토교통부에서 인정하고 특허받은 다양한 기능이 있음에도 아예 사용하지 않고, 관리도 허술하다 보니 이렇게 무용지물이 된 것”이라며 “청주시가 제대로 유지관리 계약을 체결해서 관리를 했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연웅 청주시 도시재생과장은 “당초 스마트가로등에 탑재된 무인주차정산 기능을 활용하려 했으나 주차료 징수에 대해 우려하는 상인들의 의견이 있어 애초부터 주차정산 기능은 꺼놓은 상태”라며 “스마트가로등이 시에서 처음 도입한 시설이고 내부에 컴퓨터가 있는데 벌레 유입과 더위 등 외부환경에 취약한 문제도 있어 관리에 어려움이 많다”고 해명했다.
이어 “상인들과 함께 어떤 스마트 기능을 활용할지 협의하겠다”며 “현재 설치업체의 하자보수 기간은 끝난 상태이기 때문에 예산을 세워 전문업체를 선정, 관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오동연 기자 viseo@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