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11월 지수 발표...충남 90.9 보합세

정부 ‘10.15의 부동산규제 강화대책’ 여파로 충북지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60선까지 떨어지며 주택투자 위축 우려까지 제기됐다.
이에 반해 충남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90.9로 보합세를 보여 충북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11일 발표한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에 따르면 충북 11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62.5로 전국에서 하위권을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입주전망지수는 79.8로 전월 대비 7.9p 하락했다. 도 지역의 경우 78.3으로 전월 대비 6.6p 하락했다. 제주(60.0)를 비롯해 충북(62.5), 강원(75.0), 전남(66.6)은 하락했지만 경남(92.8), 전북(87.5)은 상승했으며, 경북(91.6), 충남(90.9)은 보합세를 보였다.
도 지역은 규제의 직접 영향권에서는 벗어났으나 다주택자에 대한 조세부담 확대 우려로 인해 충북·제주·강원·전남 등 산업기반이 취약해 비상주 수요가 많은 지역에서 주택투자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는 게 주택산업연구원의 분석이다.
수도권은 75.6으로 전월 대비 17.1p나 하락했다. 광역시도 83.8로 5.2p 줄었다.
조사기간 직전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통해 주택구입 목적 부동산담보대출에 대한 LTV 한도 규제와 소유권 이전 당일 전세자금대출 금지 등 강력한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발표되면서 신축아파트 입주여건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도권에서의 하락 폭이 더욱 크게 나타난 건 이번 대책을 통해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가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시·군으로 대폭 확대되면서 수도권 전반의 주택거래 여건이 한층 더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10.15 대책에 따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는 세입자가 거주 중인 주택 매각이 불가능해지고 실수요자 본인만 입주할 수 있으며, 중도금과 잔금 모두 LTV 한도를 적용 받아 향후 미입주가 더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홍승태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