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보원사 터에서 고려시대 최대 규모로 추정되는 승방지(승려들의 기거지)가 발견됐다.
시는 국가유산청과 서산 보원사 터에 대한 12차 정밀발굴조사를 추진한 결과, 승방지 건물지군 6곳, 담장지 11기, 석축 7기, 배수로 8기 등 유구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는 지난 3월부터 서산 보원사 터의 동남쪽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건물지군은 한정된 공간에 평면 형식으로 밀집된 점, 아궁이가 확인된 점, 출토 유물이 생활 용기인 점을 고려할 때 승려들이 기거했던 승방의 터로 추정된다.
조사지역 내 모두 25동의 건물지로 형성돼 있으며, 각 건물지는 중앙에 마당을 둔 평면 디귿자형으로 서쪽을 향해 트여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건물지의 주춧돌 등의 배치가 어긋나 있어 최소 1차례 이상 개축된 것으로 보인다.
서산 보원사는 9세기 이전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에 승려 1000여명이 머물렀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대사찰이다.
시는 오는 19일 운산면 용현리 55 일원에서 발굴조사 현장 설명회를 오후 2시부터 개최할 예정이다.
현장설명회에서는 발굴 조사 성과와 함께 출토 유물을 공개할 계획이다.
시는 국보 승격을 앞두고 있는 오층석탑과 보원사 터 인근에 전시실, 수장고 등 을 갖춘 사적 방문자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서산 장인철 기자 taean2@dynews.co.kr
동양일보TV
장인철 기자
taean2@dy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