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올해 추진한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시는 판로 확대, 연구개발(R&D), 특허 출원, 환경개선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맞춤형 지원으로 지역 기업의 성장 체질을 강화하고 있다.

◆연속성 있는 지원체계
시는 지역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와 공공조달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제품등록 지원사업’을 추진, 13개 기업의 제품 등록과 컨설팅을 지원했다. 업들의 국내외 판로 개척을 위해 다양한 박람회 참가를 돕고, 이를 통해 58개 기업이 총 769건, 34억원 규모의 구매계약을 성사시켰다.
우수·혁신제품의 초기 시장 진입을 위한 테스트베드 사업도 상·하반기 두 차례 진행해 총 14억6000만원의 구매계약 및 예산 반영 성과를 거뒀다. 한국산업진흥협회와 협약을 맺고 위촉한 10명의 판로개척자문단은 전국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관내 우수제품을 홍보해 약 14억 원 규모의 계약을 이끌어 냈다.

◆맞춤형 지원으로 경쟁력 강화
시는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특허출원 지원사업을 통해 11개 기업의 특허 전략 수립과 출원을 지원했다. 이 중 4개 기업이 이미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나머지 7개 기업도 연내 출원을 마칠 예정이다. 정부 연구개발 공모사업 참여를 지원하는 R&D 컨설팅을 13개 기업에 실시하고 있으며, 내년 이후 정부사업 선정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후속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경영안정자금·근로환경 개선도 병행
시는 경기침체와 수출입 환경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전국 최고 수준의 경영안정자금을 운용 중이다. 기업은 시의 추천을 받아 은행에서 융자받고, 시는 최대 5년간 연 3%이자 범위 내에서 이자를 보전한다. 기업당 융자 한도는 8억 원이며, 올해는 232개사에 총 869억원의 융자를 추천했다. 기숙사 신축·증축, 공용시설 개보수 등 근로환경 개선사업에도 4억2천만 원을 투입해 26개 기업의 근무·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했다.

◆청정제조기반 구축으로 탄소감축 대응
강화되는 국제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시는 충북 최초로 ‘청정제조기반 구축사업’을 추진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협력해 15개 기업을 대상으로 다탄소 배출 공정 개선 및 시설 노후화 대체를 지원했으며, 총사업비 2억1000만원이 투입됐다. 참여 기업들은 에너지 절감, 분진 및 폐수처리 개선 등 환경컨설팅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시설 개선에 들어갈 예정이다.

◆미래산업 대응 위한 지식산업센터 건립
시는 오창읍 양청리 일원에 총사업비 321억원을 들여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도 추진 중이다.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7200㎡ 규모로 조성되며, 바이오·이차전지·반도체 등 첨단산업 기업 60여 개 입주공간과 회의실, 커뮤니티, 스튜디오 시설을 갖춘다. 설계는 올해 마무리됐으며,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완공 후에는 중소기업에 저렴한 임대공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경은 시 기업지원과장은 “기술개발에서 판로확대, 근로환경 개선까지 폭넓은 기업지원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며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지속 강화해 지역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준성 기자 qwer@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