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낭비 논란 속, 시너지 발휘할 수 있는 축제 만들어야
각 지자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난립하는 지역 축제가 중복 행사와 예산낭비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충청권에서는 선심성 축제와는 달리 주민과 함께 호흡하는 축제가 있어 눈길을 끈다.
지자체는 기본 틀만 제공하고 주민과 민간이 기획·운영을 주도하는 형태다.
‘행사를 위해 예산을 쓰는 방식’에서 벗어나 ‘혈세가 투입되는 행사를 주민들에게 이익을 주고 골목상권까지 활성화 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의 행사를 만들자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충남 홍성군의 ‘홍성 글로벌 바비큐 페스티벌’이다. 백종원 대표 논란으로 출발 초기 삐걱거렸던 행사였다. 하지만 축제기간 동안 22만명이 방문했으며 직·간접 경제효과는 120억원으로 추산된다. 지역 농축산물 소비도 15% 증가했다. 기획·운영은 지역 청년과 요식업 종사자, 협동조합이 맡고, 군은 인·허가 등 행정지원에 머물렀다.
또 △충북 음성군의 ‘음성명작축제’도 높은 지역경제 기여도를 인정받고 있다. 올해 행사에는 약 15만명이 찾았다. 축제 기간 농·특산물 판매액은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기획 단계부터 지역농협, 청년예술단체, 상인연합회가 참여해 공연·전시·판매 부스를 직접 운영했다. 상인회는 방문객 소비패턴을 분석해 지역 상권 개선사업으로까지 이어갔다.
이밖에 문화·예술 기반 축제 중에서 △‘청주공예비엔날레’가 대표적 성공사례다. 올해 67개국 1300여 명의 작가가 참여했으며 관람객은 40만명에 달했다. 전체 예산 98억원 중 45%가 기업 후원과 자체 수익으로 충당됐다. 공예산업과 관광·전시·디자인 산업이 연계되며 단순 지역행사가 아닌 ‘산업형 축제’로 정착했다는 평가다. 청주시는 비엔날레 기간 공예기업의 상담·계약 실적을 공개해 ‘축제 이후 성과’를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
이들 축제의 공통점은 명확하다. 주민과 민간이 주체가 되고 지자체는 조력자로 머문다. 예산과 운영이 투명하게 공개돼 신뢰도가 높으며 지역 소비·산업·관광 활성화로 이어진다. 수치로 확인 가능한 경제효과와 높은 재방문율 덕분에 ‘행사 뒤 남는 것이 없다’는 비판에서 자유롭다.
전문가들은 축제 지속가능성의 핵심이 ‘규모가 아니라 구조’라고 강조한다.
지역의 한 문화관광 전문가는 “주민 주도 축제는 예산이 지역내에서 순환할 가능성이 크다”며 “행정이 행사를 만든다는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자체가 직접 기획하는 축제는 중복과 반복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며 “지역민과 민간조직이 스스로 운영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관계자는 “축제가 많다고 좋은 게 아니다”라며 “유사 행사는 통합하고, 지역 고유성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에 둔 재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행사 수’가 행정 성과로 여겨지던 관행이 점차 힘을 잃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복축제 정비와 성공사례 확산을 병행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축제는 축제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지역을 살리는 수단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끝> 조창희 기자 changhee@dynews.co.kr

